1. 등가 정리, 등가 회로
  ※ 비선형적이고 복잡하게 구성된 회로를, 회로해석이 용이한 등가회로로 대치하여 표현
     - 이로부터, 단순화시킨 회로 구조 하에, 전압,전류,전력을 더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됨
2. 복잡한 회로망을 단순화시키는 등가회로 종류
  ㅇ 테브닝의 정리 (테브닝 등가회로)
     - 두 단자를 가진 임의의 회로망을 단지 `하나의 독립 전압원과 하나의 등가 저항이
       직렬 연결된` 등가 회로(Equivalent network)로 바꾸어 놓을 수 있음
        . 주로 Rs이 작을 때 편리함
  ㅇ 노튼의 정리 (노튼 등가회로)
     - 두 단자를 가진 임의의 회로망을 단지 `하나의 독립 전류원과 하나의 등가 저항이
       병렬 접속된` 등가 회로로 바꾸어 놓을 수 있음
        . 주로 Rs이 작을 때 편리함
  ㅇ 노튼의 정리 (노튼 등가회로)
     - 두 단자를 가진 임의의 회로망을 단지 `하나의 독립 전류원과 하나의 등가 저항이
       병렬 접속된` 등가 회로로 바꾸어 놓을 수 있음
        . 주로 Rs이 클 때 편리함
3. 비선형 소자를 선형 소자들 만으로 등가화시킨 등가회로
  ㅇ 다이오드 등가회로 모델 ☞ 다이오드 근사 해석 참조
  ㅇ 트랜지스터 등가회로 모델
     - BJT 등가회로 
        . 대신호 증폭기 : Ebers-Moll 모델 등
        . 소신호 증폭기 ☞ BJT 소신호 등가회로 참조
     - MOSFET 등가회로 
        . 소신호 증폭기 ☞ MOSFET 소신호 등가회로 참조
  ㅇ 고주파 또는 교류 하의 커패시터 기생성분에 대한 등가회로 ☞ 커패시터 등가회로 참조
4. 트랜지스터의 전통적인 등가회로 해석 방법 : 트랜지스터 증폭기 등가회로
  ※ 전통적인 회로 해석 방법이 가능
     - 비선형 능동소자인 트랜지스터가 특정 동작영역에서 실제 단자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도록,
        . 전압원,전류원,선형 수동소자(R,L,C) 만으로 등가 표현케 함
     - 따라서, 전통적인 회로 해석 방법을 그대로 적용 가능함
  ㅇ 교류,직류 등가회로 구분 필요
     * (중첩의 정리에 따라 각각 분리 해석 후에, 그 결과를 연계 해석)
        . 즉, 직류 동작점을 잡고, 그 점을 중심으로 교류 스윙하는 진폭을 해석
     - 직류 등가회로 (직류 정상상태 가정)
        . 교류 전압원 => 단락
        . 교류 전류원 => 개방
        . 회로 내 모든 커패시터 => 개방
     - 교류 등가회로 (교류 정상상태 가정)
        . 직류 전압원 => 단락
        . 직류 전류원 => 개방
        . 회로 내 모든 커패시터 => 단락
        . 주로 Rs이 클 때 편리함
3. 비선형 소자를 선형 소자들 만으로 등가화시킨 등가회로
  ㅇ 다이오드 등가회로 모델 ☞ 다이오드 근사 해석 참조
  ㅇ 트랜지스터 등가회로 모델
     - BJT 등가회로 
        . 대신호 증폭기 : Ebers-Moll 모델 등
        . 소신호 증폭기 ☞ BJT 소신호 등가회로 참조
     - MOSFET 등가회로 
        . 소신호 증폭기 ☞ MOSFET 소신호 등가회로 참조
  ㅇ 고주파 또는 교류 하의 커패시터 기생성분에 대한 등가회로 ☞ 커패시터 등가회로 참조
4. 트랜지스터의 전통적인 등가회로 해석 방법 : 트랜지스터 증폭기 등가회로
  ※ 전통적인 회로 해석 방법이 가능
     - 비선형 능동소자인 트랜지스터가 특정 동작영역에서 실제 단자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도록,
        . 전압원,전류원,선형 수동소자(R,L,C) 만으로 등가 표현케 함
     - 따라서, 전통적인 회로 해석 방법을 그대로 적용 가능함
  ㅇ 교류,직류 등가회로 구분 필요
     * (중첩의 정리에 따라 각각 분리 해석 후에, 그 결과를 연계 해석)
        . 즉, 직류 동작점을 잡고, 그 점을 중심으로 교류 스윙하는 진폭을 해석
     - 직류 등가회로 (직류 정상상태 가정)
        . 교류 전압원 => 단락
        . 교류 전류원 => 개방
        . 회로 내 모든 커패시터 => 개방
     - 교류 등가회로 (교류 정상상태 가정)
        . 직류 전압원 => 단락
        . 직류 전류원 => 개방
        . 회로 내 모든 커패시터 => 단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