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움직임 벡터 (Motion Vector)
ㅇ 움직임 추정 (Motion Estimation, ME) 결과로 얻어진, 현재 블록(매크로 블록)이,
- 참조 프레임 내에서 얼마나 이동했는가를 나타내는 (예측하는) 변위 벡터
. 현재 프레임의 블록과 가장 유사한 참조 프레임의 블록 간 위치 좌표 차이로써,
. 수평,수직 변위를 나타내는 벡터
.. 즉, 현재 블록이 이전(또는 다음)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로부터 이동했는지를 나타내는,
.. 수평,수직 좌표 차이(예측된 변위)
2. 움직임 벡터의 의미
ㅇ 움직임의 출처 파악
- 각 화면(프레임)에서 현재 블록이,
. 이전 또는 이후 어느 프레임(참조 프레임)의 어느 위치로부터 이동해온 것인지를 알려줌
ㅇ 시간 중복성의 제거
- 영상에서 시간에 따라 반복되거나 유사한 움직임을, 수학적/수치적으로 표현함으로써,
. 시간적 중복성(temporal redundancy)을 줄임
- 즉, 현재 프레임 상의 현재 블록(매크로 블록)이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 수치적이고 간단한 벡터로 설명함
ㅇ 데이터량 감축 효과
- 가장 유사한 이전 또는 이후 참조 프레임 상에서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 그 예측 블록과 현재 블록 간의 차이 (오차 블록) 만을 부호화함으로써,
. 데이터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
3. 송수신 시 움직임 벡터의 활용
ㅇ 송신 측 (인코더)
- 다음의 정보만 전송
. ① 움직임 벡터
. ② 예측 오차 블록(현재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차이)
- 즉, 전체 영상을 그대로 보내지 않고,
. 움직임 보상된 예측 정보(움직임 벡터)와 오차 정보만 부호화하여 전송함
ㅇ 수신 측 (디코더)
- 수신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해 참조 프레임에서 예측 블록을 재생성
- 여기에 복원된 오차 블록을 더하여 원래 영상 블록을 복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