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 전달망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ㅇ 전기적 신호 단위가 아닌 광 파장 단위로 전달/수송하는 기능적인 광 네트워크
ㅇ 광케이블로 이루어진 물리 계층 관점 하에 정의되는, 광 수송 네트워크
- 주로, WDM 방식에 의한 DWDM 광 네트워크로써, : (WDM 기술을 십분 활용함)
- 사용자 데이터(페이로드)를 광통신을 통해 운반하는, : (회선 기반)
- 광 전달망(Transport Network) 기술 구조를 지칭함 : (수송용)
2. 광 전달망(OTN)의 기능
ㅇ 페이로드 수송 (Payload Transport)
ㅇ 다중화 (Multiplexing)
ㅇ 라우팅 (Routing)
ㅇ 망 생존성 (Network Survivability)
ㅇ 망 감시 유지 관리 등
※ 결국, 서로다른 종류의 개별 신호들의 출발지와 도착지 간에, 연결성을 유지관리
3. 광 전달망(OTN)의 특징
ㅇ 다양한 트래픽 형태를 통합 제어하는 체계
- TDM 계층에서는 회선을, WDM 계층에서는 파장을,
- 이 둘 모두를 포함하는 제어 체계
ㅇ 다양한 종속신호의 수용 가능 (투명성)
- 종속신호 형태로는, STM-n, ATM, GFP, GbE 등 어떠한 포멧이나 속도의 신호라도 수용 가능
ㅇ 재구성 가능 (파장 스위칭 : 파장 단위 라우팅)
- OXC가 중심 역할을 수행
. 광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교차연결, 교환, 신호방식, 라우팅 프로토콜 지원 등
ㅇ 다양한 성능 감시, 보호 및 복구 기능 제공
- 보호 및 복구 : 장애 시 파장을 다른 경로로 우회하여 신뢰성 확보
ㅇ 전송 평면 및 제어 평면이 분리됨
- 전송 평면(전달 평면)은, SDH 기반 전달망, OTH 기반 전달망 등이 혼재되어 있는 평면
- 제어 평면은, 연결제어를 목적으로 제어신호가 흐르는 평면
- 이 둘이 분리됨
ㅇ 사용자에게, 유연한 점대점 링크 제공
- 이를, `광 채널 트레일(trail)` 이라고 함
. 양끝단 2개의 접속점 간을, 유연하게 점대점으로 연결 구성시킬 수 있는, 광 전달 경로
ㅇ 광 채널(OCh : 양끝단 연결) 당 전송속도의 다양화
- 2.5 Gbps, 10 Gbps, 40 Gbps, 100 Gbps 등으로 동작 가능
ㅇ 낮은 비트 오류율을 유지토록, FEC(순방향 오류 정정) 필드 포함
- FEC는, OTN 프레임의 맨끝에 위치함
ㅇ Digital Wrapper
- 에러검출 목적으로 어떤 특정 바이트를 할당
※ (현재의 구조)
- 현재의 광 전달망은,
- WDM/ROADM을 기반으로,
- 광 전송 계층(OTS)에 OTN 스위칭 기술과 MPLS-TP 기술이 통합된 구조로써,
- 광 채널(OCh) 당 100 Gbps 대역폭을 갖음
4. 광 전달망(OTN) 계층 구조
ㅇ 클라이언트 계층 : 서비스 신호 (IP, Ethernet, SONET/SDH, Fibre Channel 등)
ㅇ 디지털 계층 (OTN Layer) : 프레이밍, 다중화, 오류정정 (ODUk, OCh 등) ☞ 아래 5.항 참조
ㅇ 광 계층 (WDM Layer) : 파장 단위 운반, 다중화, 광 스위칭 제공
ㅇ 물리 계층 : 광섬유, 광 증폭기 등 전송 매체
5. 광 전달망(OTN)에 대한 ITU-T 표준
ㅇ `OTH(광 수송 계위) 또는 OTN(광 수송 네트워크)`에 대한 ITU-T 표준
- ITU-T에서 WDM 기술에 바탕을 둔 광 수송 네트워크로서의 표준
ㅇ 주요 표준
- 정의 : G.709 "Interfaces for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 광 파라미터, 프레임 구조, FEC 정의 등을 기술하는 표준
- 광 계층 구분 : G.872 "Architecture for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 광 전달망을 네트워크 계층 구조 관점으로 기술하는 표준 ☞ OTH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