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Metro Ethernet, Metro   메트로 이더넷, 메트로

(2025-02-22)

Carrier Ethernet, 캐리어 이더넷, 케리어 이더넷, MEN, Metro Ethernet Network, 메트로 이더넷 네트워크


1. 메트로 영역에서, 통신 상의 특징

  ㅇ 과거, 주로, TDM 기반의 SDH/SONET 전송망 위주로,
     - Ring Topology 형태의 망으로 구성되어 있었음

     - 이곳은, 인터넷인트라넷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 전체 인터넷 망의 병목 구간으로 인식되어 왔음

     - 다만, SDH/SONET 방식은, `보호 및 복구` 및 망관리 기술이 안정적이고 우수함
        . 링크 또는 노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 경로 이중화를 통해, 
        . 50 ms 이내에 망을 복구하는, OAM보호절체 기술이 장점임 

  ㅇ 기존 방식별 단점 비교
     - 기존 SDH/SONET 망은, 대역폭 낭비, 
     - 기존 이더넷 망은, 망의 `보호 및 복구`에 대한 메커니즘 결여

  ㅇ 결국, 기존 이더넷 기술에 요구되는 것은,
     - Scalability (확장성), Reliability (신뢰성), QoS (통신품질), Management (망관리/서비스관리)


2. 메트로 이더넷 (Metro Ethernet) 이란?

  ㅇ 주로, 기존의 LAN에서 사용되던 이더넷(Ethernet) 기술을,
     - 메트로(Metro, 대도시권, 약 70~100 Km) 이상의 영역으로 확대하되,
        . (메트로 영역은, 주로, 대도시 지역 사이트와 인터넷 백본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됨)
     - 확장성, 신뢰성, 통신품질, 망관리 등을 가능케 하는 기술 

  ㅇ 때론, 캐리어 이더넷(Carrier Ethernet) 이라고도 함


3. 메트로 이더넷 구현기술의 유형IEEE 802.1q VLAN 기술
     - 기존의 순수 이더넷 기술, IEEE 802.1q 기반의 메트로 이더넷RPR(Resilient Packet Ring) 기술
     - 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 SDH/SONET 장점을 받아들인 기술

  ㅇ SDH/SONET 기반의 기술
     - SDH/SONET 기반으로, 새로이 개선된 기술로써 NG-SDH/SONETATM/FR(Frame Relay) 기반의 기술

  ㅇ MPLS VPN 기반의 기술 등


4. 메트로 이더넷 서비스의 종류

  ㅇ E-Line 서비스  :  점대점 연결, 임대 전용선. (가장 일반적인 형태)
  ㅇ E-Tree 서비스  :  점대다점(PMP) 연결 
  ㅇ E-LAN 서비스   :  멀티 사이트 서비스 (VLAN 등)


5. 주요 표준표준화 단체 : IEEE, ITU, MEFIEEE 802.1 연구그룹 : "LAN/MAN Bridging & Management"
  ㅇ IEEE 802.1D (1990,1998,2004) : "MAC Bridges"
     - IEEE 802.1w (부록, 2004) : Reliability (RSTP), "Rapid Reconfiguration of Spanning Tree"
        . 처음에는, 고장 복구 시간을 대략 50초에서 10초로 줄이고자 함
        . RSTP(Rapid STP)하에서는, 10초에서 50 ms까지로 줄이고자 함
  ㅇ IEEE 802.1AX (2008,2014,2020) : "Link Aggregation"
     - 원래 명칭 802.3ad(2000)에서 후에 2008년 802.1AX로 내용변경없이 표준번호 만 바뀜
  ㅇ IEEE 802.1Q (2005,2011,2014) : Reliability and CoS (RSTP, MSTP, VLAN),
                      "Virtual Bridged Local Area Networks (구명칭 Bridges and Bridged Networks)"
     - IEEE 802.1ad (부록, 2005) : Scalability (Q-in-Q or stacked VLANs), "Provider Bridges", 
     - IEEE 802.1ah (부록, 2008) Scalability (MAC-in-MAC), "Provider Backbone Bridges" 
        . customer 및 provider 간의 경계 구분(demarcation)
     - IEEE 802.1Qay (부록, 2009) "Provider Backbone Bridge -- Traffic Engineering"
     - IEEE 802.1ag (부록, 2007) OAMIEEE 802.3 :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IEEE 802.3ae (부록, 2002) Speed and distance (for 10 Gbps)
     - IEEE 802.3ba (부록, 2010) Speed and distance (for 40 and 100 Gbps)
  ㅇ ITU-T Y.1731 2015 OAMITU-T G.8032 : Ethernet Ring Protection Switching (ERPS)
     - 복구 시간이 50ms 이하
        . 사용자에게 복구 과정이 인식되지 않을 정도의 짧은 복구 시간
     - 네트워크가 정상일 때, 링 루프의 방지를 위해 1개의 링 링크를 차단
     - 링 네트워크장애가 발생시에, 장애 발생 링크를 차단하고 백업 링크를 활성화

MAN/메트로 이더넷
1. 메트로 이더넷   2. TDM 및 Metro Ethernet 비교   3. NG-SDH/SONET   4. RPR   5. IEEE 802.1q 기반의 M/E   6. MPLS-VPN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MAN/메트로 이더넷]1. 메트로 이더넷   2. TDM 및 Metro Ethernet 비교   3. NG-SDH/SONET   4. RPR   5. IEEE 802.1q 기반의 M/E   6. MPLS-VPN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