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도 (Concentration)
ㅇ 일반적으로, `단위 체적 또는 질량 당 포함된 입자 수[개/㎥] (때론, 질량[g/㎥]) 등` (함유량)
- 특정 물질(성분)이 포함되어있는 정도 (갯수 때론 질량 ÷ 체적)
. 주로, 농도(Concentration) 또는 수 밀도(Number Density)라고 말함
- 흔히, 빽빽하게 들어차있는 정도
. 때론, 밀도(Density) 라고도하나, 밀도는 부피 당 질량 비인 질량 밀도를 주로 말함
ㅇ 캐리어 농도 (Carrier Concentration) : 전하 수 비율 [개/㎥, 개/㎤]
- 반도체 등에서 전하운반체(전자,정공)의 농도 : (갯수 ÷ 체적)
ㅇ 화학 농도 (Chemical Concentration) : 함유량 비율 [mol/L] 또는 [mol/kg] 등
- 주어진 부피,질량 등에서 성분이 얼마나 포함되어있는가를 나타냄 (갯수 ÷ 체적 또는 질량)
. 주로, 화합물 용액 중 용질의 함량 (표현 방식이 다양함 : 아래 2.항 참조)
2. 화학 농도 c 의 여러 표현
※ 대부분, (입자 수 또는 당량 수 또는 화학식량 수) / 부피
- (mol L-1, eq L-1, g 화학식량 L-1)
ㅇ 몰 농도 (Molar Concentration, Molality) : M
- M = (용질의 몰 수) / (용액의 부피) [mol/㎤] [mol/L] (L: liter)
ㅇ 노르말 농도 또는 노말 농도 (Normality) : N
- N = (용질의 당량 수) / (용액의 부피) [eq/㎤] [eq/L]
. 당량(equivalent) : 물질의 화학반응에 기초한 물질의 량 [eq/mol]
.. 화학반응에서 물질 성분 간의 양적 관계를 근거로,
.. 각 원소 또는 화합물마다 할당된 일정 물질량
. 당량점(equivalence point) : 두 성분들 사이에 적정 화학반응이 종결되는 지점
* 몰 농도(M),노르말 농도(N) 관계식
. 몰농도 x 당량수 = 노르말농도
. M x (eq/mol) = N
. (mol/L) x (eq/mol) = eq/L
ㅇ 포말 농도 (Formality) : F
- F = (용질 g 화학식량 수) / (용액의 부피) [g 화학식량/㎤]
※ 한편, 몰랼 농도는, 몰 수(입자수) / 질량
ㅇ 몰랄 농도 (Molal Concentration) : b
- b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kg수) [mol/kg]
* 용액 내 질량이 온도에 의존 안하므로(독립적), 더 선호되는 농도 표현 방법 임
3. 화학 농도의 표기 : [ ]
※ 일반적으로, 화학식 농도 표기는,
- 화학식에 대괄호 `[ ]`로 묶어서 표현
. 例) [K+] = 0.1 M 은,
.. 전체 용액 중 K+ 이온의 농도가, 리터 당 0.1 몰 [mol/L]
4. 화학 농도에서, 수학적인 분율(Fraction) 표현 방식
※ ☞ 분율(Fraction) 참조
- 질량 분율 (질량 대 질량), 몰 분율 (몰수 대 몰수)
- 큰 수의 분율 표현 : 백분율 (질량 백분율, 몰 백분율) 등
- 매우 큰 수의 분율 표현 : 백만분율,십억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