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Loss   전송 손실

(2022-05-25)

1. 전송 손실

  ㅇ 주로, 유선 음성 전화에서,
     - 특정 접속구간에서 장치의 삽입시, 이에따라 발생하는 음성 신호 전력의 감소를 지칭

  ※ 한편, 무선 전파에서는, ☞ 자유공간 경로손실 참조


2. 유선 전화전송 손실 량(量)전송계를 600Ω계로 하고, 그 계를 1,020 Hz(테스트톤)에서 측정할 때의 동작 감쇄량
     - 단위 : 데시벨[dB]

  ㅇ 전송손실 측정
     - 단일 주파수(1020 Hz)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에서만 의미를 갖음

  ㅇ 전송손실 = 송신레벨[db] - 수신레벨[dB] = 10 log P₁/P₂


3. 유선 전화전송로상에서 전체 손실 

  ㅇ 주로 구성 중계선들의 손실들에 의하여 결정되고 제어됨
     - 보통 가입자의 전송지점으로부터 지역 단국까지의 루프손실과 단국단국,
       망 접속에서의 손실, 그리고 수화 루프에서의 손실들의 합
     - 이 외에도 적은 양이기는 하지만 교환기 장치 등에 의해 신호감쇄가 일어남


4. 유선 전화 망의 디지털화

  ㅇ 과거에, 반향,안정도,명음 등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 감쇄(Attenuator, Pad)값을 망계획시 미리 설정하여 손실을 조절하는 방식 등이 사용됨

  ㅇ 현재는, 망의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 전송 손실에 대한 취급의 중요성이 줄어들었음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