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MPEG-2 TS   Transport Stream, TS Stream, TS Layer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송 스트림, 수송 스트림, TS 스트림

(2022-06-29)

1. 트랜스포트 스트림 (Transport Stream, TS)MPEG-2 시스템 표준에서 나온 말
     - 오류가 있는 채널 환경 하에서도 쓸 수 있는,
     -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부호화된 다수의 비디오 비트열)을 다중화한,
     - 정형화된 비트열 (스트림)
 

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특징

  ㅇ 복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비트열(수송 스트림)으로 다중화 전송
     -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TV 방송 등에 적합함
        . 영상,음성 등이 동기화되고 기타 신호가 포함, 모든 스트림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

  ㅇ 제한 수신 (Conditional Access)                                   ☞ CAS 참조
     - 스크램블 기능 (비트열을 암호화하여 유료 가입자 이외에는 시청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부가할 수 있음

  ㅇ TS 내에서 랜덤 액세스(임의접근)가 용이
     - 디렉토리 정보나 개별 비트열에 관한 정보 등을 실을 수 있음      ☞ Program, PSI 참조

  ㅇ 짧은 길이의 고정 패킷TS 패킷 참조
     - 188 바이트 고정길이 패킷 (4 바이트 헤더, 184 바이트 데이터)

  ㅇ 동적으로 전송률 재조정 가능


3. MPEG-2 TS 스트림열 구성

  ㅇ TS는 TS Packet 들로 구성됨
     - TS Packet 구조 = (TS 패킷 헤더) + (TS 패킷 적응필드) + (페이로드 데이터)
        . 4 바이트 헤더를 갖는 총 188 바이트의 고정길이 패킷

       

     * [참고] ☞ MPEG 영상 계층구조, GOP, Picture, Slice, PES 패킷 스트림, TS 패킷 참조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