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en Ring, 802.5   Token Passing Ring, IEEE 802.5   토큰 링

(2021-03-24)

1. 토큰링 방식

  ㅇ 원래 1966년 Newball Ring으로 명명되어 제안된 것
     - 당시 PRIME, APPOLLO, IBM社 등에서 이 방식을 채택하여 LAN을 구성

  ㅇ 기본적으로, 토큰을 가진 노드 만이,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음


2. 토큰링 특징전송속도전송매체
     - 16Mbps, 이더넷에 비해 충돌에 의한 시간낭비/지체가 없어 비교적 높은 속도 유지
     - 노드 간에 다른 전송매체(구리,광 등) 사용 가능
  ㅇ 순서 및 주소정보
     - 토큰링이 통과하는 순서는 물리적인 링상의 노드의 위치와 일치하기 때문에 토큰
       에 대한 주소 정보는 불필요
  ㅇ 통신회선의 사용권한
     - 통신회선에 흐르는 제어신호(토큰,Token)에 의하여 부여


3. 토큰링 동작방식

  ㅇ 모든 노드들이 유휴상태일 때에는 패킷은 Free 토큰이라함
  ㅇ 전송을 하고자 하는 노드토큰이 패스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 토큰을 일단 받으면 비트패턴을 변형시킴으로써 Busy 토큰으로 변형시키고,
     - 토큰 영역 다음에 데이터전송하는데,
     - 이때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다른 노드들은 대기해야 함
  ㅇ 전송패킷 데이터는 한번 순환한 후에는, 송신 노드에 의해 제거됨
  ㅇ 송신 노드패킷 전송을 완료하고, Busy 토큰이 자기 노드로 되돌아오면, Free 토큰을 발생시킴

  ※ 위 같은 방식에는 다음의 제어가 필요
     - 루프를 초기화하려 토큰 패스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 토큰의 분실 또는 중복의 검출 회복에 관한 제어


4. 토큰허브허브의 역할을 하는 MAU(Multistation Access Unit)라는 10 포트짜리 장치를 사용
  ㅇ 양끝 각 1 포트 2 포트가 인접 MAU와 연결되면 나머지 8개 포트가 각 컴퓨터를 접속하는
     일종의 성형 구조를 갖음


5. 기타참고사항프레임 포멧은 -> MAC 프레임 참조

  ㅇ 표준 : IEEE 802.5  (※ 참조 → IEEE 802 위원회)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