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리회로] 카운터
ㅇ 2 이상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 매 입력 펄스 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상태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 순서논리회로 또는 레지스터
ㅇ 용도 : 계수(計數), 타이머, 주파수 분주기, 주파수 계수기 등
- 발생 횟수를 세거나, 동작 순서를 제어(순서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 생성에 적합
2. [논리회로] 카운터 구분 : (클럭 펄스의 인가 방식에 따라 비동기식, 동기식으로 구분됨)
ㅇ 비동기식 카운터 (리플 카운터)
- 클록 펄스에 모든 플립플롭이 동기화되지 않으며 동작함
- 특징
. 단점 : 각 플립플롭을 통과할 때 마다 지연시간이 누적됨 (고속 동작에는 부적합)
. 장점 : 동작 및 논리회로 구성이 단순하고, 구현 용이
ㅇ 동기식 카운터 (병렬 카운터)
- 클록 펄스에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병렬로)/동기화되어 동작함
- 특징 : 복잡한 제어 회로 필요하지만, 고속 계수 가능
3. [논리회로] 카운터 구분 : (시프트 카운터 유형, `1`의 위치가 순환되는 형태로 구분됨)
※ 다단 플립플롭 구성하에 단지 하나의 `1` 상태가 순환되는 형태
- 특수한 형태의 시프트 레지스터
ㅇ 링 카운터 (Ring Counter)
- 최종단 플릡플롭 출력(Q)이 처음단 플립플롭 입력으로 단순 피드백 결합됨
. N개의 상태를 가지며, 정확히 N개의 클럭 주기 후 다시 초기 상태로 돌아옴
- 특징 : 각 상태 마다 각각의 출력이 나타나므로, 디코딩 회로 불필요
* [참고] 일정 순서로 신호의 전달,처리 후에, 출력이 다시 입력으로 되돌아가는 루프 구조
. 링 카운터 : 정해진 순서로 상태를 반복해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카운터
. 링 발진기 : 홀수 개 인버터를 직렬 연결한, 출력이 입력으로 되돌아가는 루프순환형 발진기
. 링형 토폴로지 : 네트워크 구성에서 노드들을 순환형으로 연결한 형태
ㅇ 존슨 카운터 (Johnson Counter)
- 보수 출력 피드백 사용 → 상태 수 2배 증가
. 최종단 플립플롭 보수 출력(Q')을 처음단 플립플롭 입력으로 단순 피드백 결합됨
- 특징 : 링 카운터에 비해 상태 수가 2배 증가
4. [논리회로] 카운터 기타 구분
ㅇ Modulo-n 카운터
- N개의 상태를 반복하는 카운터. 즉, 최대 N개까지 계수(計數) 가능
. 例) 2진 카운터, 10진 카운터 등
ㅇ BCD 카운터
- 0 ~ 9 계수 후 리셋, 4 비트 출력
. 펄스,사건 등을 계수하고,
. 그 결과를 10진 숫자 형태로 나타냄 ☞ BCD 코드, BCD 비동기식 카운터 등 참조
- 응용 :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
. BCD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로 변환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