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효용 (Utility) 이란?
ㅇ 재화의 소비, 서비스 이용시,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의 크기를 수치화한 주관적 개념
2. 효용의 특징
ㅇ 직접 관측이 불가능하고, 경제학적 모델에서 가정되는 추상적 개념
ㅇ 소비자의 선택 행동을 설명·예측하는 데 활용됨
ㅇ "더 많은 재화 = 더 큰 효용"이라는 단순 가정에서 시작하지만,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적용됨 : "재화가 늘어남에 따라, 효용 증가 속도가 감소"
3. 효용 함수 (Utility Function)
ㅇ 소비자나 투자자가, 소득,재화,자산 등으로부터 느끼는 만족도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함수
- 소비 또는 소득에 대한 만족도
- 투자자 위험에 대해 어떤 취향/선호도를 갖는지를 나타내는 함수
ㅇ 함수 모양 유형
- 위험 회피형 (Risk Averse) : 오목한 함수 (한계효용 체감)
- 위험 중립형 (Risk Neutral) : 직선
- 위험 선호형 (Risk Loving) : 볼록한 함수
ㅇ 가능한 함수 유형
- 로그형 : {# U(x) = \ln (x) #} (대표적 위험 회피형)
- 지수형 : {# U(x) = 1 − e^{−ax} #}
4. 기대 효용 (Expected Utility)
ㅇ 불확실한 상황에서 각 가능한 결과(outcome)의 효용에 그 발생 확률을 곱하여 합산한 값
[# EU = \sum p_i U(x_i) #]
- {#p_i#} : 사건 i의 발생 확률 , {#U(x_i)#} : 결과 {#x_i#}의 효용
ㅇ 활용
- 불확실성 하에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제공 (보험 가입, 투자 의사결정 등)
- 기대값과 달리 위험 성향(위험회피/위험중립/위험선호)을 반영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