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static Capacitance   커패시턴스

(2024-11-05)

전기 용량, Electrostatic Capacity, 정전 용량, Farad, 패럿, 부유 커패시턴스, 부유 용량, 2선식 케이블 정전용량


1. 정전용량 (커패시턴스, Capacitance)  :  기호 C

  ㅇ ①  유전 물질(유전체)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 

  ㅇ ②  회로에서, 정전 에너지의 저장 능력
     - 정전 에너지의 저장 가능한 수동 선형 소자커패시터 참조
     - 자기 에너지의 저장 가능한 수동 선형 소자인덕터 참조


2. 정전용량의 단위  :  패럿 [F (Farad)]SI 단위계

     - ① (물질 관점)  축적된 전자 1 mol이 갖는 전하량 (전기용량)           ☞ 패러데이 법칙 참조
        .  1 [F] = (1.60 x 10-19[C]) x (6.02×1023 [1/mol]) 
                 ≒ 96485 [C/mol]

     - ② (회로 관점)  전위를 1 [V] 상승시키는데 1 [C (쿨롱)]의 전하가 필요한 용량 : C = Q/V [F]
        .  1 [F] = 1 [C]/[V]

  ㅇ 마이클 패러데이의 이름을 따서 단위명이 만들어짐
     * Michael Faraday : 영국 물리학자 (1791~1867)


3. 정전용량의 표현식

  ㅇ 양 극판 사이에 자유공간이 있는 경우
     -   Co = Q/V = εo A / d
        . ( εo: 유전율, A : 면적, d : 평판 거리 )
        .  정전용량 크기는 평판 면적이 클수록, 평판 거리가 작을수록 커짐

  ㅇ 양 극판 사이에 자유공간이 아닌 유전물질(유전체)이 있는 경우
     -   C = Q'/V = ε  A / d  = εoεr  A / d
        . ( εr  : 유전상수(비유전율) )
        . 정전용량 크기는 유전물질유전상수에도 비례

    


4. 정전용량의 직병렬 연결

   


5. 부유 커패시턴스, 부유 정전용량, 부유 용량 (Stray Capacitance)

  ㅇ 통상, 전선과 대지 간, 전선 상호 간, 배선,접점,회로 기판 사이에 생기는 정전용량
     - 유전체로 분리된 두 전도 물질 사이에 전위차가 있고,
     - 약간의 누설전류 있을 때 주로 발생
  ㅇ 이는, 회로 사이에 원치 않는 결합(커플링)을 야기시킴
     - 높은 주파수에서, 이러한 부유 용량이, 신호에 바이패스 경로를 제공해, 회로 성능에 영향 미침
  ㅇ 때론, "기생 용량"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고주파 회로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임


6. 2선식 케이블의 정전용량

  ㅇ 여름철에 대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케이블 길이와 부피가 약간 증가되어,
     정전용량의 값이 약간 증가됨

  ※ 정전용량 식 ☞ 전송선로 공식 참조

  ㅇ 2선식 양 도선 간에 정전용량은, 
     - 직류 전류의 경우, 단선의 상태로 나타나고, 
     - 교류 전류의 경우, 전송손실을 일으킴

커패시터,커패시턴스,전계에너지
1. 커패시터   2. 커패시턴스   3. 전기장 에너지  
커패시터
1. 커패시터   2. 커패시터 종류   3. 커패시턴스   4. 등가 직렬 저항   5. 커패시터 용량   6. 슈퍼 커패시터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커패시터,커패시턴스,전계에너지]1. 커패시터   2. 커패시턴스   3. 전기장 에너지  

[커패시터]1. 커패시터   2. 커패시터 종류   3. 커패시턴스   4. 등가 직렬 저항   5. 커패시터 용량   6. 슈퍼 커패시터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