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메모리 세그먼테이션 (Segmentation) 방식
ㅇ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써, ☞ 메모리 관리, 메모리 가상화 참조
-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시점에만 가변 크기의 세그먼트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
. 메모리를, `세그먼트(Segment)`라는 `가변 크기` 단위로 구분하여 관리함
ㅇ 특징
- 독립적으로 관리됨
. 각 세그먼트 마다 크기가 다르며, 독립적으로 관리됨
- 독립적으로 대응됨
. 프로그래머가 논리적으로 구분한 프로그램 공간(코드,데이터,스택,힙 등)을,
. 각각 독립적인 세그먼트로 대응시킴
- 데이터 성격에 따라 나눔
. 프로그램 구조나 데이터 성격에 따라 나눔
.. 例) 코드,전역변수,힙,스택 등 ☞ 런타임 메모리 참조
- 주소 지정 (접근) 방식 : (세그먼트 번호/이름 + 오프셋) 형태
ㅇ 장점
- 프로그래머가 인식하는 논리적 구조와 메모리 관리 단위가 일치 → 관리가 직관적임
- 세그먼트 단위로 접근 권한이나 보호 기능을 지정 가능
ㅇ 단점
- 세그먼트 크기가 가변적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 외부 파편화 현상으로, 메모리 낭비가 심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