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ory Paging   메모리 페이징

(2025-09-25)

페이지 , Page Fault, 페이지 폴트


1. 메모리 페이징 (Paging) 방식운영체제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                   ☞ 메모리 관리, 메모리 가상화 참조
     - 프로그램 실행 중 필요한 시점에만 고정 크기 페이지(Page)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
        . 메모리를 페이지(Page) 단위로 나누고, 
        . 물리적 메모리는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 프레임(Page Frame)들로 구분하여 관리

  ㅇ 특징
     - 프로그램주소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 물리 메모리의 페이지 프레임일대일 대응시킴
     -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메모리 관리 장치, MMU) 간의 협력을 통해 동작함
     - 각 프로세스마다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을 유지하여, 논리 주소와 실제 물리 주소매핑
     - 사용하지 않는 페이지는, 보조 저장장치(스왑 영역)에 보관되며, 필요할 때만 메모리에 적재됨

  ㅇ 페이지 폴트 (Page Fault)
     -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요구한 페이지가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예외 상황
     - 이 경우 운영체제가 해당 페이지를 보조 저장장치에서 찾아 메모리에 적재할 때까지,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은 일시 중단됨

  ㅇ 장점
     - 동일한 페이지를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할 수 있어 메모리 활용이 효율적임
     - 외부 단편화(external fragmentation)가 발생하지 않음

  ㅇ 단점
     - 페이지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지막 페이지에서 사용되지 않는 일부 공간이 생겨,
     - 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ation) 가 발생할 수 있음

메모리
1. 메모리 관리   2. 가상 메모리   3. 메모리 페이징   4. 메모리 세그멘테이션   5. 스와핑   6. MMU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