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Synchronous Multiplexing   동기식 다중화, 동기식 전송기술, 동기식 전송망, 동기식 전송방식

(2023-08-10)

1. 동기식 다중화 (Synchronous Multiplexing)

  ㅇ 하위 PDH 또는 STM 신호들이 정확히 동기화된 채 교직 다중화하며,  
     - 여기에 동기화 정보유지보수 신호와 같은 오버헤드를 추가하여,
     - 고속의 동기식 신호들로 만들어가는 다중화 방식

  ㅇ 다중화 직후, 전송 및 수신 역다중화 과정 중간중간에 
     - 필요시 개별 계위신호별로 분기결합(Add-Drop) 또는 교차연결(Cross-connect) 등이 일어남


2. 동기식 다중화 방식의 출현 배경

  ㅇ 기존 비동기식 다중화 방식(PDH)으로 전송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 점대점 구조에 따라, 방대한 회선접속에 의한 망 구성 설비가 필요하며, 
     - 또한, 다중화 절차가 복잡하여 전송장비의 낭비 요소가 있었으나,

  ㅇ 동기식 전송방식에 의한 동기식 전송망은,
     - 정형화된 가상상자 개념을 이용한, 동기식 다중화에 따라,         ☞ 동기식 다중화 신호 처리
     - ADM이나 DCS를 이용한, 점 대 다중점 구조에 의한, 융통적인 망 구성이 가능하고,
     - 고속의 다중화 계위를 제공하는 등 많은 장점을 제공              ☞ 디지털 신호 계위


3. 동기식 다중화에서 `동기` 및 `다중화` 의미동기식 다중화에서의 동기
     - 물리계층에서 동기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로(단일 클록원), 
        . 다중화된 고속의 신호 상에서 저속의 신호가 직접적으로 추출이 가능함
     - 또한, 각 계위 신호들이 다중화되는 과정이,
        . 동기를 유지한채 이루어지기 때문

  ㅇ 동기식 다중화에서의 다중화 
     - 각각의 입력 종속신호들은 규정된 크기의 용기에 담아져 동기식 종속신호들로 다중화
        . 상위의 동기식 종속신호 프레임유료부하 공간 위에,
        . 하위 종속신호들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점유)하는 형태로 다중화4. 동기식 다중화 특징다중화/역다중화가 단순
     - 높은 비트율(속도)로의 확장이 용이
        . 고속 계위신호가 다중/역다중화 과정 없이 저속 계위신호에의 접근이 용이

  ㅇ PDH 모든 계위 신호들을 대등하게 바라봄
     - 비동기식 다중화 계위 신호 모두에 대하여 단지 1 단계의 다중화STM-n 신호를 생성
        . 동기식디지털계위상에서 바라다 볼 때, PDH(비동기식디지털계위)의 모든 계위 신호들은
          저속,고속에 관계없이 대등한 관계에 있게함

  ㅇ 포인터에 의한 동기화포인터 위치맞춤
     - 시스템 클럭과 수신 신호와의 주파수 차이를 포인터 및 정/영/부 위치 맞춤으로 처리   

  ㅇ 계층화 개념을 도입시킴에 따른 유지보수 용이                    ☞ 동기식 전송망의 계층화
     - 경로(Path)와 구간(Section)으로 계층화시켜 각 구간에서 필요치 않은 오버헤드투명하게 통과시킴
        . 각각의 계층에 독립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부여토록 설계오버헤드 바이트

  ㅇ 향상된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오버헤드(Overhead) 
     - 오버헤드의 체계적 활용                      

  ㅇ 신뢰성 있는 망 구성                                ☞ 동기식전송망의 복구방식(망 생존성)
     - 50ms 내에서 자체 복구(Self-Healing) 기능의 제공

   
5. 동기식 다중화 신호

  ㅇ 단계별 다중화를 위한 기본 신호 
     - 비동기식 종속신호를 수용하는 기본 다중화 단위Container (C, 상자)
     - 분기결합(Add-Drop) 또는 교차연결(Cross-connect)를 쉽게 하기 위해 규격화시킨
       다중화 단위Virtual Container(VC,가상상자)

  ㅇ 전송을 위한 기본 신호 프레임 : STM-n동기식수송모듈(STM)
     - 신호 프레임 구조     : 바이트 단위의 정방형 프레임 (9행 270열, 9x270 바이트)
     - 기본 신호 레벨(속도) : 155.520Mbps (STM-1)
     - 프레임 반복주기      : 125㎲ 주기  (8KHz)

  ㅇ 동기식 다중화 신호구조                                   ☞  동기식다중화 신호구조 참조

  ㅇ 동기식 다중화 신호단위                                    ☞ 동기식다중화 신호단위 참조


6. 동기식 전송망 특징

  ㅇ 대용량 전송 위주로 망의 생존성 중요함              ☞ 동기식전송망의 복구방식(망 생존성)

  ㅇ 망 구성 가능 토폴로지 : 점대점 선형구조, 링형 구조, 메쉬형 구조
     - 특히, 망 생존성을 위해, ☞ 자기 회복 고리망 SHR (UPSR,BLSR) 참조


7. 동기식 전송망 주요 구성요소동기식 다중화기 (SM, Synchronous Multiplexer)
     - 기본형      : 기존 비동기식 계위신호들을 다중화하여 STM-n 신호 구성
     - 동기 다중형 : 하위 STM-n 신호들을 상위 STM-n 신호들로 다중화분기결합 다중화기 (ADM)
     - 디지털 교차연결시스템(DCX)이 본격 사용 전에 분기결합 수행하는 장치
  ㅇ 디지털 교차연결시스템 (DCX)
     - 중심국 위주의 점대다중점 망 구성을 가능케하면서 회선 교차연결을 수행하는 장치
  ㅇ STM-n 접속장치
     - STM-n 신호들을 상호 접속해주는 장치

전송 - 동기식 전송
1. 동기식 다중화   2.
동기식전송방식(기초)
  3.
SONET
  4.
동기식 계위 구조
  5.
동기식 신호 단위
  6.
동기식 신호 처리
  7.
동기식 다중화 절차
  8.
동기식 포인터 처리
  9.
생존성
  10.
동기식 전송시스템
  11.
계층화
  12.
Next Generation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전송 - 동기식 전송]1. 동기식 다중화   2. [동기식전송방식(기초)]   3. [SONET]   4. [동기식 계위 구조]   5. [동기식 신호 단위]   6. [동기식 신호 처리]   7. [동기식 다중화 절차]   8. [동기식 포인터 처리]   9. [생존성]   10. [동기식 전송시스템]   11. [계층화]   12. [Next Generation]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