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번호 이동성
  ㅇ 이용자가 기존의 전화번호를 바꾸지 않아도,
     - 자유롭게 통신사업자, 서비스, 거주지/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
2. 목표 및 도입목적
  ㅇ 궁극적 목표              :  개인번호의 실현 (이용자 편익 증진)
  ㅇ 번호이동성 정책도입 목적 :  사업자간 경쟁촉진
3. 번호이동성 분류
  ㅇ 서비스 제공자 이동성 (Service Provider Number Portability) 
     -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변경하여도 번호를 변경할 필요가 없이 자유로운 통신 가능
     * 흔히 번호이동성이라고 말할 때는 주로 사업자 이동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ㅇ 서비스 이동성 (Service Number Portability)
     - 음성, 영상, 데이터 등 서비스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번호를 바꿔가며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
  ㅇ 위치 이동성 (Location Number Portability)
     - 번호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 하여도 원래 사용하던 번호를 변경함이 없이 자유로
       운 통신 가능
4. 사업 역무 내의 번호이동성 구분 
  ㅇ 시내전화 번호이동성 (LNP, Local Number Portability)
     - 기존 시내전화사업자 간 번호이동성 
  ㅇ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MNP, Mobile Number Portability)
     - 2G간 번호이동성, 3G간 번호이동성, 2G-3G간 번호이동성 등
  ㅇ 인터넷전화 번호이동성
     - 인터넷전화간 번호이동성, 인터넷전화-유선전화간 번호이동성
5. [참고사항]
  ㅇ 번호이동성 기술  ☞  번호이동 호처리방식 (비지능망방식,지능망방식)
  ㅇ 표준화 :  ITU-T SG2 등
  ㅇ 번호이동 호처리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번호 DB  ☞ NP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