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DL   VHSIC-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DL   VHDL 하드웨어기술언어

(2021-02-15)

VHS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1. VHDL (VHSIC-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DL)디지털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표현하는 범용의 `하드웨어 기술 언어`
     - 하위 게이트 레벨에서 상위 동작 레벨까지 하드웨어를 기술하고 설계,테스트 등이 가능

  ㅇ 역사
     - 1980년대초 미국 국방성에서 ASIC 문서화를 위해 최초 시작
        . 복잡한 매뉴얼 대신에, 회로 동작 내용을 문서화 설명하기 위해 개발됨
     - 1987년 IEEE 표준으로 지정, 그후 여러차례 발전되어 발표됨
        . IEEE Std. 1076 (1993,2000,2002,2008년 등)


2. VHDL 언어 규약

  ㅇ 기초 규약
     - 대소문자 : 구분 없음
     - 식별자   : 문자로 시작
     - 모든 구문 끝 : 세미콜론(;)으로 끝남
     - 주석     : --
     - 병행문 (concurrent statement)
        . 여러 입력 신호에서 1 이상 만 변하면 즉시 실행

  ㅇ 문장 구성 요소
     - 예약어(특별한 의미를 갖음), 식별자 (신호,변수 등), 리터럴, 주석 등

  ㅇ 구문 구분 : 선언문, 병행문, 순차문

  ㅇ 코드 구성 기본 구조
     - 주석
     - 라이브러리 선언부 : 공동 사용을 위한 코드 집합선언
     - USE
     - 패키지
     - 엔티티     : 회로의 입출력 핀을 명시함
     - 아키텍처   : 회로 동작(기능)을 표현함
        . 선언부와 몸체부로 구성

하드웨어 기술(記述)
1. HDL(하드웨어 기술 언어)   2. HDL 설계 관점   3. HDL 설계 흐름   4. 레지스터 전달 레벨 (RTL)   5. VHDL   6.
Verilog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