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핑된 반도체에서, 농도,페르미 레벨,온도 간의 관계식
[# n_o = N_c e^{-(E_c-E_F)/kT} \; \rightarrow \; kT\ln(n_o/N_c) = -(E_c-E_F) \\
p_o = N_v e^{-(E_F-E_v)/kT} \; \rightarrow \; kT\ln(p_o/N_v) = -(E_F-E_v) #]
ㅇ 여기서,
- {#E_F#} : 페르미 준위
- {#E_{c,v}#} : 전도대,가전자대 끝단
. 대부분의 전도 전자는 전도대 끝단에 존재
. 대부분의 전도 정공은 가전자대 끝단에 존재
- {#T#} : 절대온도
- {#k#} : 볼츠만 상수
- {#N_{c,v}#} ☞ 상태 밀도, 유효 상태밀도 참조
- 기본가정 : 볼츠만 근사 (E - EF ≫ kT => f(E) ≒ e-(E-EF)/kT)
2. 온도에 따른 페르미 준위의 변동
ㅇ 온도에 따른, 페르미 준위는,
- 온도가 낮으면, 전도대,가전자대의 끝 단에 가까움 : ({#E_c-E_F \sim 0#}),({#E_F-E_v \sim 0#})
- 온도가 높으면, 진성 페르미 준위에 가까움 : ({#E_F \sim E_{F_i}#})
3. 도핑에 따른 페르미 준위의 변동
ㅇ 도핑 형태(종류,캐리어 농도)에 따라 페르미 준위는 변하게 됨
ㅇ 만일,
- n형 반도체에서, {#E_c-E_F#} 차이가 증가하면,
. 열평형 하의 전도대에서, 전자 농도가 감소 : [# n_o = N_c e^{-(E_c-E_F)/kT} #]
- p형 반도체에서, {#E_F-E_v#} 차이가 증가하면,
. 열평형 하의 가전자대에서, 정공 농도가 감소 : [# p_o = N_v e^{-(E_F-E_v)/kT} #]
4. 온도 및 도핑에 따른 페르미 준위
ㅇ n형 반도체
[# n_o = N_c e^{-(E_c-E_F)/kT} \\
E_c - E_F = kT \ln \left( \frac{N_c}{n_o} \right)
\approx kT \ln \left( \frac{N_c}{N_d} \right) \\
E_F - E_{F_i} = kT \ln \left( \frac{n_o}{n_i} \right) #]
ㅇ p형 반도체
[# p_o = N_v e^{-(E_F-E_v)/kT} \\
E_F - E_v = kT \ln \left( \frac{N_v}{p_o} \right)
\approx kT \ln \left( \frac{N_v}{N_a} \right) \\
E_{F_i} - E_F = kT \ln \left( \frac{p_o}{n_i} \right) #]
※ 이용가능한 `반송자(전자,정공)` 농도, `양자 에너지 상태` 및 온도에 의해 결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