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herent Detection, Incoherent Demodulation, Non-coherent Detection, Non-coherent Modulation Demodulation   비동기 검파, 비동기식 검파, 비동기 복조, 비동기 변조 복조

(2022-07-24)

1. 비동기 검파 (Incoherent Detection)

  ㅇ 수신 반송파로부터 정확한 위상을 추출할 필요가 없는 방식
     - 즉, 동기검파와 달리 반송파위상을 이용하지 않음
     - 단순히, 주파수 만을 이용하여 검파하는 방식
     - 비교적, 구현이 간단하나 다소 비효율적
     - 대부분, 포락선 만을 검출하는 검파기 임 ☞ 포락선 검파기 참조


2. 비동기 검파 특징

  ㅇ 주요 특징
     - 반송파 동기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음
     - 가격이 저렴한 통신에서 선호됨
     -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나, 에러확률이 높아짐
        . 따라서, 비동기 방식은 고속의 시스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음
     - 다만, 이동무선채널 처럼 위상이 시시각각 변하는, 
        . 즉, 위상 추적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유용함

  ㅇ 종류
     - 포락선 검파 (Envelope Detection) 
     - 정류 검파 (Rectifier Detection)

  ㅇ 사용 例) 
     - AM 신호검파
        . AM 파의 포락선메세지 신호와 동일
     - Differential PSK (DPSK)
     - Noncoherent FSK 등

  ※ 동기식 검파비동기식 검파의 주요 차이점동기검파(Coherent Detection) 참조

복조 기술
1. 복조   2. 동기 복조   3. 비동기 복조  
디지털 복조(검파)
1. 동기식 검파   2. 비동기식 검파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