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극성 공유 결합 (Polar Covalent Bond) => 극성 분자 (Polar Molecule)
ㅇ 극성 유무에 따른 공유결합의 구분
- 무극성 공유결합 : 전자쌍이 각 원자에 균등,대칭 공유
. 例) Cl2, H2, CH4(메탄) 등
- 극성 공유결합 : 전자쌍이 각 원자에 비 균등 공유
. 例) H2O(물) 등
* 한편, 이온 결합은, 개별 전자가 한 원자에 완전히 이동한 형태임
- 例) 플루오린 화합물 중에서,
. F2 : 무극성 공유결합
. HF : 극성 공유결합
. LiF : 이온결합
* 사실 대부분의 화합결합(분자 형성)이 이상적인 형태 보다는,
. 부분적인 이온결합, 부분적인 공유결합을 동시에 갖는 중간적 `극성 공유 결합` 형태임
ㅇ 결합 극성의 형태 구분 셋(3)
- 극성 결합이나, 극성 분자가 아닌 경우
. 例) CO2
.. 분자 기하구조가 선형적이어서,
.. 2개 결합 극성이 상쇄되어,
.. 알짜 쌍극자 모멘트가 없게 되어 극성 분자가 아님
- 극성 결합이고, 극성 분자가 되는 경우
- 분자 모양은 같으나, 다른 극성을 갖는 경우
ㅇ 결합 극성의 척도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Debye [D]
- 1 [D] = 3.34 x 10-30 [Coulomb m]
- 例) 2개의 전자 전하(+1 및 -1 [e])가 1 [Å] 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의 쌍극자 모멘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