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MN
ㅇ 전기통신망과 통신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 운용시스템(Operation System)과 통신망 구성장비들을 표준 인터페이스로 연결하고,
-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관리정보를 상호교환하는 논리적 구조로써,
- 체계적으로 전기통신망 관리를 지원하는 하부구조 (ITU-T M.3010 권고안 참조)
2. TMN 출현 배경
ㅇ 다양화, 비대화, 고도화되어가는 통신망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 국제표준기구에서 권고하는 TMN 체제를 망관리 하부구조로 도입함으로써,
- 개별 운용관리시스템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표준화된 개방형 방식에 의한 총체적이고
일원화된 망관리체제 구현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대두됨
ㅇ TMN은 통신망의 전송시스템 및 교환시스템을 관리할 목적으로 1988년 CCITT(ITU-
T의 전신) M.30 권고안에서 처음으로 권고된 이래 이를 확대,심화, 발전시킴
3. TMN 기본 개념
ㅇ TMN은 서로 다른 여러 접속을 통해 전기통신망의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운용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독립된 형태의 네트워크로써 물리적인 개념이
두드러지나,
ㅇ 오히려 국제 표준 또는 권고를 기반으로 하는 TMN의 구현과 시스템 개발을 위한 지표와
하부구조를 제공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ㅇ 운용시스템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데이타구조와 관련된 모든 데이타 및
정보 수집을 위한 개방형 접속등을 제시함
4. 참고사항
ㅇ TMN 주요 특성 : 상호운용성, 확장성, 유연성, 재사용성
ㅇ TMN 관리 계층 구조 (관리기능에 따른 계층화 모델)
- 사업관리계층 (Business Management, BML)
- 서비스관리계층 (Service Management, SML)
- 망관리계층 (Network and System Management, NML)
- 장비관리계층 (Element Management, EML)
ㅇ TMN 기능 구조 : 정보의 관리 측면에서다음과 같이 구분
- 기능구조 / 계층구조 / 물리구조 / 정보구조
ㅇ TMN 관리기능 영역 : 관리기능(Management Function)을 목적에 따라 분류,
- 이를 시스템 관리기능 영역(SMFA, System Management Functional Areas)이라 함
(ITU-T X.700 권고)
- 관리기능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분류 ☞ FCAPS
. 장애관리, 과금/계정관리, 구성관리/명칭관리, 성능관리, 보안 관리
ㅇ 주요 망관리 통신프로토콜 : CMIP, SNMP
ㅇ TMN 관련 인터페이스
- Q Interface
. Q3 Interface : 운용보전시스템(OSS)과의 인터페이스
- X Interface :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
- F Interface : TMN과 워크스테이션 간의 인터페이스
5. 관련 표준
ㅇ 표준화화기구 : ITU-T SG4
- M.3000 : TMN 개요
- M.3010 : TMN 개념 및 구조 정의 (TMN 일반 원칙)
- M.3020 : TMN 관리서비스 및 관리기능 간의 인터페이스
- M.3100
- M.3200 : TMN 관리서비스
- M.3400 : TMN 관리기능 정의
- X.700 : 관리프레임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