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뇌 (interbrain, diencephalon, 間腦)
ㅇ 대뇌와 소뇌 사이 깊은 곳에 위치하는 작은 뇌 ☞ 네이버지식백과 (간뇌 / 사이뇌)
- 많은 핵(신경핵)으로 구성되어 있고,
- 대뇌와 뇌줄기(중뇌,교뇌,연수)를 연락하며,
- 대뇌 바로 아래 바닥부분에 있음
2. 간뇌의 구성
ㅇ 크게,
- 윗쪽 시상,시상상부와 아래쪽 시상하부로 구별됨
ㅇ 한편, 내분비계 조직으로,
- 간뇌의 뒤쪽에는, 송과선(멜라토닌 분비)이,
- 시상하부 아래에는, 뇌하수체가 붙어 있음
3. 시상 (thalamus : 뇌 속 깊숙한 방 같은 구조, 視床 : 감각 정보가 모이는 자리)
ㅇ 모양 및 위치 : 달걀 모양으로, 중뇌 위에 위치, 오른쪽,왼쪽 시상으로 구분됨
- 간뇌의 대부분(가장 큰 부분,약 80%)을 차지하는 회백질부
ㅇ 역할 : 교차로처럼 작용하는 뇌 영역
- 감각(후각 제외) 정보를 대뇌피질로 중계하는 역할
. 입력되는 감각 정보의 대부분이 이 곳을 통하고, 대뇌피질의 각 영역으로 전달됨
. 따라서, 상위 영역인 대뇌피질로 들어가는 정보를 선택하고 필터링하는 문지기 역할을 함
- 주로, 운동,주의,의식 등에 관여
4. 시상상부 (epithalamus, 視床上部)
ㅇ 성인에서, 시상의 뒤쪽에 위치 ☞ 위키백과 (시상)
- 상부(epi-)는, 태아 발생 시기 때의 위치이고,
- 성인의 뇌에서는, 시상의 뒤쪽에 위치
ㅇ 주로, 송과체(솔방울샘, pineal gland), 고삐핵(habenula) 등을 포함하는 뇌 영역을 일컬음
ㅇ 송과선, 송과샘 (pineal gland, 松果腺, 솔방울샘) ☞ 네이버 지식백과 (송과샘)
- 간뇌 등면에 돌출해 있는 내분비선
- 생식과 수면에 관련된 (어둠에 반응) 멜라토닌(일주기리듬 관여)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해,
숙면을 돕는 작용
5. 시상하부 (hypothalamus, 視床下部)
ㅇ 시상의 밑에 위치, 뇌 전체 부피의 1% 이하를 차지하지만, ☞ 네이버 지식백과 (시상하부)
-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추로 작용
- 또한, 감정 표출, 체온 조절, 배고픔,목마름 등의 다양한 행동 조절을 담당하는 중추로도 작용
- 특히, 자율신경을 조절하는 중추로는, 뇌의 시상하부와 연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