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State Density   유효 상태 밀도

(2024-07-14)

1. [반도체]  유효 상태 밀도 (Effective State Density : Dc, Dv 또는 Nc, Nv)

  ㅇ 특정 에너지 수준 (에너지밴드 극한점 부근) 및 공간 내,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에너지상태를,
     단 하나의 에너지상태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  
     
     - 상태의 수  = ∫ (유효 상태수 밀도 [1/㎤]) dv
     - 대략적인 값  :  ~ 1019 [1/㎤]


2. [반도체]  전도대 바닥, 가전자대 천장에서, 유효 상태 밀도전도대 바닥에서, 전자 유효 상태밀도 : Nc 또는 Dc
     - 전도대역 내 모든 에너지상태를 단 하나의 에너지상태 Ec로 환산
         
[# D_c = 2 \left( \frac{2πm^*_nkT}{h^2} \right)^{3/2} #]
: 전도대 바닥 유효 상태밀도가전자대 천장에서, 정공 유효 상태밀도 : Nv 또는 Dv - 가전자대역 내 모든 에너지상태를 단 하나의 에너지상태 Ev로 환산
[# D_v = 2 \left( \frac{2πm^*_pkT}{h^2} \right)^{3/2} #]
: 가전자대 천장 유효 상태밀도 ㅇ 例) 300 [K]에서 유효 상태밀도 값 - Si : Nc = 2.8 x 1019, Nv = 1.04 x 1019 [1/㎤] - Ge : Nc = 1.04 x 1019, Nv = 6.0 x 1018 [1/㎤]

반도체 에너지준위
1. 에너지준위   2. 에너지준위 기울기   3. 상태 상태수 상태밀도 상태분포 상태점유수   4. 상태 밀도   5. 유효 상태 밀도   6. 반도체 이온화 에너지   7.
페르미 준위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