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oughput   처리량, 처리 능력, 수율

(2025-09-23)

쓰르풋, 스루풋, 쓰루풋, 작업 처리율, 처리율, Throughput Yield 비교, Throughput Bandwidth 비교, 응답시간 처리량 비교


1. Throughput (처리량 處理量, 처리율 處理率, 수율 收率)

  ㅇ [산업]  일정 시간 내 처리,생산된 완성품의 양 (절대량)
     - 한편, 생산된 제품에서 양품(良品)의 비율은, 수율(Yield) 이라고 별도로 구분함

        . Throughput, Yield 비교
           .. Throughput : 일정 시간 동안 생산·처리된 양 (절대량)
           .. Yield : 생산품 중 불량을 제외한 양품의 비율 (품질률)


  ㅇ [통신]   단위 시간 당 운반 가능량 또는 무 오류 데이터 전송률

     - (총량적 통신 관점)  통신 채널이 운반할 수 있는 데이터의 총 량 / 총 전달 능력
        . 단위 : byte/sec 또는  bit/sec (초당 보낼 수 있는 데이터 비트의 수, 비트율)
           .. 망 관리자는 트래픽 폭주 등으로 채널 용량(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감시/제어 필요

        . Throughput, Bandwidth(대역폭) 비교
           .. Throughput : 실제 데이터 전송 성능 (실효치)
           .. Bandwidth : 채널의 최대 전송 능력 (이론적 상한)

     - (신뢰적 통신 관점)  오류 없이 전송 수신되는 유효 데이터전송율 / 전송 능력
        . 단위 : 위와 동일


  ㅇ [컴퓨터]  단위 시간 당 작업 처리량
     - 주어진 시간컴퓨터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량 or 일의 량 or 작업 량
        . 이 경우, 단순히 빨리 처리/실행한다는 응답 시간 만의 의미는 아님

        . 응답 시간, 처리량 비교
           .. 응답 시간 : 처리 하나 당 소요 시간 (서비스 이용 관점 : 단일 사용자 체감 성능)
           .. 처리량 : 단위 시간 당 처리 가능 량 (서비스 제공 관점 : 다중 사용자 평균 성능)

     - 단위 : MIPS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 
              TPS (Transactions Per Second), QPS (Queries Per Second) 등

QoS 파라미터
1. QoS 파라미터   2. 지연 (Delay)   3. 패킷 손실 (Loss)   4. 지연 변이 (Jitter)   5. 대역폭 (BW)   6. 처리량 (Throuhput)   7. IPPM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