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ous Material   다공성 소재

(2025-02-28)

1. 다공성 소재 (Porous Material)

  ㅇ 내부에 기공(pore)을 함유하는 고체

  ㅇ 특징
     - 내부가 차 있는 벌크 소재에서 얻기 든 특성을 보임
     - 통상, 기공도(porosity : 전체 당 기공의 부피)가 0.2 ~0.95

  ㅇ 기공 크기에 따른 분류
     - 마이크로 다공성 (microporous, < 2 nm) :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
     - 메조 다공성 (mesoporous, 2~50 nm) : SBA-15, MCM-41 등의 메조 다공성 실리카
     - 매크로 다공성 (macroporous, > 50 nm) : 스펀지, 세라믹 필터 등
     * 나노 다공성 (nanoporous, 기공도 0.4 이상 및 약 0.4~100 nm)
   
  ㅇ 응용 분야
     - 흡착분리 : 활성탄(공기 정화), 제올라이트(가스 분리), MOF(수소 저장)
     - 촉매 : 다공성 실리카(SBA-15), 제올라이트(석유 화학 촉매)
     - 바이오 및 의학 : 조직 공학(다공성 지지체), 약물 전달(나노 다공성 입자)
     - 에너지 저장 : 다공성 전극(슈퍼커패시터, 배터리)
     - 단열방음: 다공성 폼(흡음재), 다공성 세라믹(단열재)

재료공학
1. 다공성 소재   2. 재료   3.
결정학
  4.
재료 구분
  5.
재료 성질
  6.
표면 공학
  7.
재료 (기타일반)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재료공학]1. 다공성 소재   2. 재료   3. [결정학]   4. [재료 구분]   5. [재료 성질]   6. [표면 공학]   7. [재료 (기타일반)]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