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포 간 신호 전달은?
ㅇ 다세포 생물의 전문화된 세포 간에, 신호(명령,정보)의 전달(소통)이,
- 크게, 화학 신호(세포외액으로 분비되는 분자), 전기 신호(세포막 전위의 변화)로 이뤄지되,
- 주로, 화학 전달 물질의 분비 및 수취에 의해 이루어짐
. 즉, 표적 세포와 신호 분자를 통해 정보를 교환함
* 표적 세포 : 선택적으로 영향받는 세포
. 한편, 표적 세포에는, 호르몬을 받아들이는 단백질 수용체(receptor)가 있어,
. 필요한 호르몬 만 수용하여 작용함
※ 한편, 일견 단순해 보이던, 세포 간 소통을 위한, 신호 경로가,
- 지극히 복잡한 그물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짐
2. 세포 간 신호 전달 방식 종류
ㅇ 국소 소통
- 직접 연결 : 간극 결합, 틈새 이음 (gap junction)
. 인접 세포들 간에 직접 전달 (전기 신호, 화학 신호)
.. 주로, 세포 외 물질과의 접촉 및 확산을 통해, 나란히 붙어있는 세포질 간 의사소통
- 접촉 의존 : 인접 세포막 표면 간에 표면 분자들의 결합 (contact-dependent signal)
. 두 세포의 세포막 단백질 간에 상호작용을 필요로 함
- 간접 연결 : 화학 물질이 세포외액으로 분비되어 자기 주변에 확산됨
. 주변 분비 물질 : 한 세포에서 분비하여, 주변 세포들에 작용 (paracrine)
. 자가 분비 물질 : 신호 분자가 자신을 분비한 세포에 작용 (autocrine)
ㅇ 원격 소통 : 대부분, 신경계,내분비계에서, 계통적으로 작동 (계통 연결)
- 내분비계 (호르몬 이용) (endocrine)
. 혈액을 통해 전신 어느 곳이나 동일하게 전달됨
- 신경계 (신경 전달, 신경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함)
. 일일이 특정 상대에게 손이 닿게끔 손을 뻗치는 형태
. 화학 및 전기 신호를 조합하여 장거리 소통을 함
.. 뉴런 끝까지 전기 신호로 가다가,
.. 뉴런 끝부분에서 화학 신호(신경 전달 물질)로 번역되어 분비됨
3. [참고사항]
ㅇ 감각 수용기 (sensory receptor)
- 환경 자극에 반응하는 신경 세포 또는 감각 기관
ㅇ 감각기, 감각 기관 (sense organ)
- 여러 수용기들이 모여 특정한 감각을 담당하는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