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 인체 영향

(2023-10-12)

전자파 인체 보호, SAR, 전자파 흡수율, 전자파 규제


1. 전자파 인체 영향

  ㅇ 현재 활발히 연구중
     - 일반인들의 전자파 노출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 막연한 관심과 불안감을 증대시키기 보다는, 
     - 일반인/직업인,주파수대역별 등으로 구분하여, 
     - 명확한 안전 노출 기준을 권고하려 함
 
  ㅇ 전자파이온화 능력 
     - 비전리 방사선 : 전파,적외선,가시광선,자외선 등  (주로, 파동성을 띔)
     - 전리 방사선
        . 간접 전리 방사선 : 엑스선,감마선,중성자선 등 (파동성이 강하나, 입자로 취급) 
        . 직접 전리 방사선 : 알파선,베타선,전자선,양성자선 등  (주로, 입자성을 띔)

  ㅇ 방사 장해 (Radiation Hazard, 전자파 복사 위험/위해)
     - 직접 : 열 효과(인체 가열 : 쇼크,화상 등), 비열 효과(가열 없는 생물학적 효과) 모두 포함
     - 간접 : 강한 전자파 장(Field)이 가연성의 수증기,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위험 효과


2. 전자파 규제 기준 항목 및 단위전자파 노출에 대한 규제 기준 구분 (권고 안전 레벨)
     - 전자파 강도 기준  :  [Volt/m]
     - 전자파 흡수율 기준  :  [Watt/kg] or [㎽/g] 

  ㅇ 전자파 흡수율 (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 국립전파연구원 (전자파흡수율 개요)
     - 단위 질량전자파 흡수율
     - 단위 부피 당 흡수된 전력을 해당 물질밀도로 나눈 값 : [Watt/kg] or [㎽/g]  

  ㅇ 국제,국내 권고 기준 (머리/몸통)
     - 국제권고기준 : 2 W/㎏
     - 국내권고기준 : 1.6 W/㎏


3. 국내 규제 관련 법률 및 제도전파법 근거
     - 제44조의3 (안전한 전파환경 기반 조성)
     - 제44조의4 (전자파인체영향에 관한 연구ㆍ조사 및 교육ㆍ홍보)
     - 제47조의2 (전자파인체보호기준 등)

  ㅇ 전파법 하위 행정규칙 중 전자파 인체 보호 관련 규칙들
     -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19-4호)
     - 전자파 흡수측정 기준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2018-18호)
     - 전자파강도전자파흡수측정대상 기자재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2019-1호)

  ㅇ [참고사항]
     - 휴대 전화 전자파 등급제 (최대 SAR)
        . 1등급 : 전자파흡수율(SAR) 값 ≤ 0.8
        . 2등급 : 0.8 < 전자파흡수율(SAR) 값 ≤ 1.6

전자파 환경
1. EME (전자파 환경)   2. EMC (전자파 양립성)   3. EMI (전자파 장해)   4. EMS (전자파 내성)   5. 전자파 인체 영향   6. CISPR (국제무선장해특별위원회)   7.
EMI 제어(방지)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