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펙트럼 분석기의 주요 조작 버튼
ㅇ 진폭 (Amplitude) 관련 조정 [수직축]
- 기준 레벨 조정 (Reference Amplitude Level), 레퍼런스 레벨 (Reference Level)
. (최상단 눈금)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최고 입력 레벨 신호세기 (dBm)
.. 스펙트럼분석기 입력단의 감쇠기 및 IF 증폭기의 이득에 따라 결정됨
.. 초과해서는 안되는 최고 입력 레벨이 있음을 유의해야 함
- 눈금 당 척도 (Scale / Division)
. (눈금당 간격) 화면 수직 눈금 당 진폭 레벨 (dB / Div)
ㅇ 주파수 (Frequency) 관련 조정 [수평축]
- 주파수 조정 :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또는 시작 주파수(Start Frequency) 조정
. 중심 주파수(주파수 스팬의 중심) 및 시작 주파수의 조정
- 수평 주파수 간격 (Span / Div)
. 국부발진기의 스위프폭을 조절함으로써, 눈금당 주파수 간격 조정
- 전체 주파수 스팬 (Frequency Span)
. 대부분 위 두 단자 조정으로써, 포착가능한 전체 주파수 범위 조정이 가능
ㅇ 필터 관련 조정
- 분해 대역폭 (RBW)
. 근접해있는 주파수 성분들 간에 분리(분해) 능력
- 비디오 대역폭 (VBW)
. 파형의 출렁임을 평균화하여 부드럽게 보여주는 능력 (비디오 필터 값)
.. 비디오 회로의 저역통과필터 3dB 대역폭
.. 일반적으로, 비디오 대역폭은 분해능대역폭 보다 크게(3~5배) 설정되어야 함
- 스위프 시간 (Sweep Time) 조정
. 화면 왼쪽에서 오른쪽 끝까지 표시하는데 걸리는 시간
.. 대부분 RBW에 따라 자동 조정
.. 스위프 속도를 결정짓는 요소들 : Span, RBW, VBW
ㅇ 교정 관련 조정
- CAL OUT (교정 신호 출력) : 특정 주파수 및 진폭 값으로 고정된 출력
. 통상, `CAL OUT 출력 단자`와 RF `입력 단자` 간에 BNC 케이블을 연결시켜 자체 교정
- 자체 교정 방법 듈(2)
. 내장된 `CAL OUT 출력 단자`를 사용하거나,
. 외부의 `CAL OUT 단자`에 신호를 직접 입력하여 진행
ㅇ 기타
- 마커 (Marker)
. 화면상의 원하는 지점에 주파수 마커/커서를 위치시키면, 밝은 점으로 나타나서,
정확하고 편리하게 주파수 또는 전압 레벨 값 또는 차이를 읽을 수 있음
2. 스펙트럼 분석기 조작에서, 가장 중요한 4가지 파라미터
ㅇ (수평축/수직축 조절)
- (수평축) 주파수 센터(중앙), 주파수 눈금 간격, 스팬
. 중심 주파수, 눈금 당 주파수 간격, 주파수 대역폭을 정의함
- (수직축) 레퍼런스 레벨
. 레퍼런스 레벨이 최대 기대 출력값 보다 약간 높을 경우,
. 파형이 화면 내 위치 가능하며,
. 입력 감쇠 및 이득에 대해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게 함
ㅇ (필터 능력 조절)
- 분해능 대역폭
. 분해능 대역폭이 작을수록, 가까운 신호의 구분 가능, 노이즈 플로어를 줄일 수 있지만,
. 스위프 시간이 증가하게 됨
- 비디오 대역폭
. 신호 분해능 또는 노이즈 플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 표시되는 파형을 평활하거나 부드럽게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