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선 (Circuit, 回線) 이란?
ㅇ 통신 양단(송신자,수신자)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물리적 또는 논리적 경로(path)
- 즉,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해당 회선이 특정 사용자 쌍에게만 독점적으로 할당됨
ㅇ 회선의 형태
- 물리적으로는, 구리선, 광섬유, 무선 채널 등의 물리적 경로 (Physical Channel)
- 논리적으로는, 교환기 내부나 네트워크 상에서 설정된 논리적 연결경로 (Logical Channel)
2.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ㅇ 주로, 전화 통신(PSTN)에 사용하던 전통적인 교환방식
- 연결되는 전체기간 동안 회선이 고정 할당되므로, 회선 자체가 점유됨
3.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
ㅇ 회선의 독점
- 주로, 망형(Mesh) 형태를 갖는 네트워크로써,
- 통화 시간 동안, 양단간 연결 링크를 독점케 하는 기술
ㅇ 회선 교환의 필수 요건
- 사전 연결 설정
. 전송 시작전에 반드시 양단간에 회선이 설정되어야 함
- 회선 독점
. 회선은 사용자에 의해 통화하는 동안 독점되어지며,
. 그것이 해제되어야 만 비로소 다른 사용자에게도 이용이 가능
ㅇ 회선 교환방식의 단점
- 회선당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구조
. 대역폭이 낭비되고, 회선사용이 비효율적임
* 이에 상대되는 것으로,
. 축적교환방식(패킷교환방식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