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충돌 도메인 (Collision domain)
  ㅇ 전통적으로, 경쟁방식인 이더넷 LAN에서는,
     - 전송매체,대역폭을 공유하는 단말들이 서로 경쟁하며 충돌이 나타나며,
     - 한 세그먼트에 2 이상의 장비가 동시 통신 시도할 때 충돌 발생
  ㅇ 이처럼, 충돌한 프레임이 전파되어 영향을 받게되는 영역을, 충돌 도메인 이라 함
2. 네트워킹 장비의 충돌 영향
  ㅇ 충돌의 전파 여부
     - 리피터,허브  :  충돌을 전파 함 
        . 전체적으로 하나의 큰 충돌 도메인 내에서 동작함
           .. 2 이상의 세그먼트를 연결시켜 연장하지만, 
           .. 그 또한 더 큰 세그먼트가 되어서, 충돌을 피할 수 없음
     - 브리지,스위치,라우터  :  충돌을 전파 안함
        . 충돌 영향 없이, 프레임(패킷)을 복제하여 해당 포트로 전달(포워딩) 함
           .. 포트별로(포트 단위로) 세그먼트가 분리됨
  ㅇ 충돌 도메인의 세분화
     - 스위치, 브리지 
        . LAN 상에서 충돌 도메인을 더 작게 분할 가능 함
        . 따라서, 네트워크 내의 폭주를 국소화시킬 수 있음
        . 또한, 이 모두를 단일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으로 만들 수 있음
     - 스위치  :  충돌 도메인의 세분화에 가장 적합
        . 마이크로 세분화 (Microsegmentation)
           .. 스위치 내 하나의 포트가 하나의 노드 만을 갖게 하는 것
           .. 매 스위치 포트에 붙어있는 장비 마다, 전용 세그먼트와 전용 대역폭을 할당 가능
     - 라우터 
        . 라우터도 LAN을 더 작은 단위의 충돌 도메인으로 세분화 가능은 하나, 
        . 이 용도로는 비용 대비 효과 극히 낮음
  ㅇ 한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경우에,
     - 그 구분 및 세분화 가능 장비로는, 라우터,VLAN 장비 만으로 가능
        . 필요에 따라 이들 장비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규모 조정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