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 질의 서비스 (Inverse Query, Reverse Query)
ㅇ 일반적인 DNS 질의/응답 방향과는 반대로, IP 주소에 대해 그 Hostname을 알려줌
- 정방향 질의(forward query)는, "도메인 이름 → IP 주소"를 구하는 과정이지만,
- 역 질의(reverse query)는, "IP 주소 → 도메인 이름(호스트명)"을 구하는 과정임
* 이 과정을 흔히, 역방향 DNS 조회 (Reverse DNS Lookup)라고 부름
2. 특징 및 동작 방식
ㅇ 일반적인 DNS 질의와 다름
- 역 질의는 RFC 1035에서 정의된 옛 방식으로,
. 질의를 받은 서버가 자신의 로컬 데이터 만을 이용해 응답함
- 즉, 다른 서버에 질의를 위임하거나 재귀적으로 찾지 않음
ㅇ DNS 사양에 따르면, 역 질의는 필수가 아닌 단지 선택사항임
- 현대에, 이 역 질의 메커니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음
- 대신에, 현재의 "역방향 DNS 조회 (Reverse DNS Lookup)"는,
. PTR 레코드 기반으로 수행되는, 별도의 질의 형태로 대체됨
.. 즉, 정규 DNS 질의 방식(A/AAAA 대신 PTR)을 이용함
3. 현재, 역 질의 (역방향 조회) 시 사용되는 방식
ㅇ 자원레코드의 DNS PTR이, 역 질의 응답에 사용됨
- 역 DNS 탐색 지원을 위해,
- 특수 도메인 .in-addr.arpa (IPv4), .ip6.arpa (IPv6)이,
- DNS PTR 자원레코드 유형과 결합되어 사용됨
ㅇ 例)
- IPv4 : < 역순 IP >.in-addr.arpa
. 192.0.2.1 → 1.2.0.192.in-addr.arpa
- IPv6 : < 역순 16진 표현 >.ip6.arpa
. 2001:db8::567:89ab → b.a.9.8.7.6.5.0.0.0.0.0.0.0.0.0.8.b.d.0.1.0.0.2.ip6.arpa
*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해, 이렇게 PTR (Pointer) 레코드를 등록해 두면,
- IP 주소를 질의했을 때, 연결된 도메인명을 반환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