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tage Regulation   전압 변동률, 전압 조정률

(2025-01-18)

Load Regulation, 부하 변동률, Line Regulation, Source Regulation, 라인 변동률, 선전압 변동률


1. 전압 조정 이란?전압 조정 (Voltage Regulation)
     - 전압을 원하는 값 또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행위

  ㅇ 전압 변동률 / 전압 조정률 (Voltage Regulation Ratio 또는 Voltage Regulation)
     - 부하 또는 입력 변동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하는 비율
        . 부하 변동률 (Load Regulation) : 부하 변동으로 인한 출력 전압이 변하는 정도
        . 라인 변동률 (Line Regulation) : 입력 변동으로 인한 출력 전압이 변하는 정도


2. 전압 변동률의 구분

  ㅇ (출력 의존성)  부하 변동률, 부하 안정도, 출력 전압 변동률 (Load Regulation)
     * (부하가 걸려있을때와 걸려있지않은 두 상황에서 전압이 얼마나 변동했는지를 비율로 표시)

     - voltage load regulation 
        . 부하 전압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 변동의 비율
           .. 무 부하(VNL)에서 전 부하(VFL)까지의 부하 전압 변동률

        . voltage load regulation 
              = (무 부하 전압 - 전 부하 전압) / (전 부하 전압) 
              = (VNL - VFL) / VFL x 100  [%]
              = (VNL - VFL) / VFL  [㎶/V]

     - current load regulation
        . 부하 전류 변동에 따른, 부하 전압 변동률
           .. (무 부하 : INL = 0, 전 부하 : IFL, 부하 전류 변동 : △IL = IFL - INL = IFL)

        . current load regulation
              = (무 부하 전압 - 전 부하 전압) / (부하 전류 변동)
              = (VNL - VFL) / △IL  [㎶/㎃] 

        . (부하 전류 변동에 대한, 무 부하 ~ 전 부하까지, 출력 전압 변동의 민감도)
              = [ (VNL - VFL)/VFL x 100 [%] ] / △IL  [%/㎃] 

     - 통상, 무 부하 전압 (VNL) > 전 부하 전압 (VFL)

     - 특징
        . 수치가 적을수록 공급 전원이 안정함
           .. 즉, 부하 변동 전 범위에 걸쳐 출력 부하 전압 변화가 작음을 의미
        . 부하 상태가 변할 때, 전원 장치의 전압 안정성을 평가
        . 주로, 레귤레이터, 배전계통 등에서 중요

  ㅇ (입력 의존성)  라인 변동률, 선 전압 변동률, 입력 전압 변동률 (Line/Source Regulation)
     * (입력 전압이 변동하는 상황에서 출력 전압이 얼마나 변동했는지를 비율로 표시)

     - 입력 전압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이 변하는 정도
        . line regulation = (출력 전압 변동) / (입력 전압 변동) 
                          = △Vout/△Vin  [㎶/V]

           .. △Vout : 출력 전압 변동, △Vin : 입력 전압 변동

     - 입력 전압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민감도
        . line regulation  = (출력 전압 변동율) / (입력 전압 변동)  [%/V]
                           = [ (△Vout/Vout) x 100 [%] ] / △Vin  [%/V]
           .. Vout : 정상 출력 전압

     - 특징
        . 수치가 적을수록 공급 전원이 안정함
           .. 즉, 입력 선 전압 변화의 전 범위에 걸쳐 출력 부하 전압 변화가 작음을 의미
        . 전원 입력이 불안정할 때, 출력 전압을 유지하는 능력을 평가
        . 주로, 전원공급장치, 변압기 등에서 중요


3. 장치별 전압 변동률의 의미

  ㅇ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압조정기 성능척도] 
     - 직류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척도
        . 입력 전압, 부하 변동에 대해서도 일정한 출력 직류 전압을 유지하는 척도
           .. 전 작동범위에 걸쳐 변화하는 직류 전압변화율

  ㅇ [변압기 성능척도]
     - 변압기는, 1차측(입력)은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한 것으로 보고, 2차측(부하) 변동 만을 따짐
        . voltage load regulation = (V2NL - V2FL) / V2FL x 100  [%]
           .. V2NL : 2차측 무 부하 전압, V2FL : 2차측 전 부하 전압 
     - 통상, 변압기전압 변동률이 적을수록 좋으나,
        . 때론,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높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압 변동률을 갖기도 함

전원공급
1. 전원공급장치   2. 전압 변동률   3. 맥동률   4. 전압조정기 (레귤레이터)   5. 선형 레귤레이터   6. 스위칭 레귤레이터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전원공급]1. 전원공급장치   2. 전압 변동률   3. 맥동률   4. 전압조정기 (레귤레이터)   5. 선형 레귤레이터   6. 스위칭 레귤레이터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