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구분

(2025-01-28)

프로브 현미경


1. 현미경의 구분재료 또는 시료의 미세구조(microstructure)를 관찰,조사하는데 사용

  ㅇ 광학 현미경 (Optical Microscope, Light Microscope, Brightfield Microscope)
  ㅇ 전자 현미경 (Electron Microscope)  :  투과 전자 현미경, 주사 전자 현미경프로브 현미경 (Probe Microscope)  :  주사 터널링 현미경, 원자  현미경


2. 광학 현미경 (Optical Microscope, Light Microscope, Brightfield Microscope)가시광선을 사용, 시료에 대해 렌즈를 통해 확대된 이미지를 관찰

  ㅇ 관찰매개 :  (가시광선)
  ㅇ 파장   : 약 400~700 μm 정도의 가시광선
  ㅇ 구성   : 광원,집속 렌즈,접안 렌즈,대물 렌즈,시료,반사경 등
  ㅇ 배율   : 약 1,000배 정도
  ㅇ 분해능 : 약 0.1 ㎛ 정도
  ㅇ 굴절   : 렌즈 물질굴절률 차이에 의해 굴절시킴
  ㅇ 관찰 모드 : 반사 모드, 투과 모드, 편광 모드, 위상차 모드, 형광 모드 등
  ㅇ 관찰 환경 : 살아있는 세포도 관찰 가능
  ㅇ 종류 
     - 일반 광학 현미경
     - 암시야 현미경 (ultramicroscope), 
     - 위상차 현미경 (phase-contrast microscope) 
     - 간섭 현미경 (interference microscope)
     - 편광 현미경 (polarized microscope)


3. 전자 현미경 (Electron Microscope) 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를 사용, 전자기 렌즈를 통한 집속 확대로, 고 해상도 이미지 생성,관찰

  ㅇ 관찰매개 : 전자 빔배율   : 약 10,000,000배 정도
     - 광학 현미경에 비해 만배에서 100만배 정도 높은 배율도 가능
  ㅇ 분해능 :  파장 보다 작은 0.05  정도의 분해능도 가능
  ㅇ 굴절   : 전자기 렌즈자기장에 의해 굴절시킴
  ㅇ 관찰 환경 : 진공 상태에서 작동  
  ㅇ 종류   :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주사 전자 현미경 (SEM)


4. 프로브 현미경 (Probe Microscope), 주사 탐침 현미경 (SPM, Scanning Probe Microscope)

  ※ 시료 표면원자 수준까지 (0.1 ~ 2 nm) 상세히 (평면 xy축, 위아래 z축 모두) 관찰 가능

  ㅇ 주사 터널링 현미경 (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 매우 정밀한 금속 탐침에 의해, 래스터 방식으로 주사됨
     - 관찰할 표면전기(터널링 전류)를 흘려주고, 
       탐침 끝과의 수 나노미터 사이에서 일어나는, 양자역학터널링 원리에 기반함
     - 분자,원자 크기의 개개의 조작,관찰까지도 가능한 전자 현미경 일종

  ㅇ 원자간력 현미경, 원자  현미경 (AFM, Atomic Force Microscope)
     - 탐침이 시료 표면으로부터 받는 측정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식

광학기기
1. 광학계   2. 확대경   3. 현미경   4. 현미경 구분   5. 광학 현미경   6. 전자 현미경 (TEM, SEM)   7. 망원경   8. 거울   9. 렌즈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광학기기]1. 광학계   2. 확대경   3. 현미경   4. 현미경 구분   5. 광학 현미경   6. 전자 현미경 (TEM, SEM)   7. 망원경   8. 거울   9. 렌즈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