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 구분, 접지 종류

(2022-01-02)

1. 역할별 접지의 구분

  ㅇ 안전 접지 (Safety Grounding) : 강전용 접지
     - 주로, 대지와 등전위로 유지하는 것
        . 전력계통 기준 전위를 대지(시설/설비에 유입되는 전류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큰 용량의 도체지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같은 전위로 유지시키는 것
        . 사용 例) 전력계통(수배전설비)용 안전 접지, 낙뢰방지용 피뢰 접지 등

     - 인명과 설비의 안전을 도모

     - 정상일 때는 전류 안 흐름 
        . 회로 장애시에 만 전류가 흐르도록 함

  ㅇ 신호 접지 (Signal Grounding) : 약전용 접지
     - 신호에 주는 잡음을 줄이거나, 원치않는 교류 성분을 우회시키는 등
        . 사용 例) 통신접지, 전자회로 등
           .. 통신접지에 영향주는 요소 : 낙뢰,전력선,전기철도,전기시설 등

     - 전기회로의 원할한 동작 보호

     - 정상일 때도 전류 흐름


2. 목적별 접지의 구분

  ㅇ 계통 접지 (전선로 접지)
     - 전력계통전선로를 의도적으로 접지시켜 전선로 과전압 억제
        . 낙뢰,서지,단락사고시 전압상승 억제로 전기설비의 손상 보호

  ㅇ 보호 접지 (외함 접지 또는 기기 접지)
     - 금속제 외함 접지에 의한 인명 보호 (감전 사고 예방)

  ㅇ 기타 목적별 접지 구분
     - 뇌해 방지용 접지 : 뇌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보냄 (피뢰침,피뢰기)
     - 정전기 방지용 접지
     - 지락검출용 접지 등


3. 계통별 접지의 구분

  ㅇ 접지 계통
     - 전력계통 중성점 또는 한 전선로를 의도적으로 접지시킴
     - 장점
        . 전선로 이상 전위 상승을 억제 가능함
     - 단점
        . 사람이 전선로 접촉시 큰 전류인체에 흐를 가능성 있음
        . 대지를 통해 다른 계통과 상호 간섭 가능성 있음

  ㅇ 비 접지 계통
     - 인위적으로 직접 접지되지 않으나, 완전 무 접지는 아님
        . 실제로 대지 간에 커패시턴스에 의해 접지됨 
        . 전력계통 상의 `중성점`이 이러한 접지 형태임
     - 장점
        . 접지 시설이 생략되므로 비용 절감
        . 사람이 전선로 접촉시 인체에 큰 전류가 흐르지 않음
     - 단점
        . 전선로 이상 전위 상승을 억제 할 수 없음
        . 절연 유지에 어려워, 소규모 전력계통에 만 적용 가능


4. 저압 접지 방식의 구분

  ㅇ (IEC 구분) 크게, TN 접지방식, TT 접지방식, IT 접지방식으로 구분

  ㅇ (공통,개별)
     - 공통 접지
        . 여러 종류의 설비에 하나의 접지전극을 구성하여 공통으로 접지하는 것
     - 개별 접지
        . 개별 설비 마다 접지하는 것


6. 접지의 설치 형태별 종류

  ㅇ 안전확보를 위한 접지
     - 외함 접지 (기기접지)
     - 전력계통선 접지 (계통접지)

  ㅇ 접지형태에 따른 분류
     - 단일점 접지 (독립접지, 단독접지)
     - 다중점 접지 (공동접지, 연접접지)
     - 혼합형 접지 (망접지)

  ㅇ 접지전극에 따른 분류
     - 봉상전극, 판상전극, 선상전극, 보링전극

접지
   1. 접지   2. 접지 종류   3. 접지 용어   4. 접지 저항   5. 대지 저항률   6. 등전위 본딩   7. 접지 저항 측정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