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 Decision, Hard Decision   연판정, 경판정

(2023-12-29)

1. 복조복호 관점에서, 판정(Decision) 이란?복조기에서 나온 파형양자화 결과를, 복호기에서, 어떻게 최종 해석(판정)하는가의 문제 
     - 경 판정 : 2 레벨 양자화 결과를 사용하여 확고한 (Yes/No) 판정을 함
        . (입력 : {0,1}, 출력 : {0,1})
     - 연 판정 : 2 이상의 레벨을 갖는 양자화 결과 또는 아날로그 값을 사용하여 근사적인 판정을 함
        . (입력 : {0.2,0.3,...} 또는 연속적, 출력 : {0,1})

  ※ [참고]
     - 복조 (Demodulation) : 원래 파형의 복구(복제)
     - 복호 (Deoding/Detection/Decision) : 유효 부호어 또는 디지털 심볼의 결정


2. 경판정 (Hard Decision) 

  ㅇ 주로, 모호하지 않는 확고한 판정을 한다는 의미임
     - 예를들면, {0,1,잘모르겠다}라고 수신되어지는 부호에서,
        . 잘 모를때에도, 반드시 0 또는 1로 만 판정하게됨

  ㅇ 경판정 복호 (Hard Decision Decoding) 
     - 디지털 통신 복조기에 의한 파형 출력이 단지 2진 {0 또는 1}으로 만 복조되고,
       또한 이를 토대로 복호하는 것
        . 수신기에서 돌이킬 수 없는 정보 손실을 유발할 수 있음

     - 사용 例) 주로, 블록부호 복호화에서 사용


3. 연판정 (Soft Decision) 

  ㅇ 확고한 정수 같은 판정 대신, 
     - 실수 (0.2,0.3,... 등) 또는 기타 정보를 포함시켜 판정하는 것

  ㅇ 연판정 복호 (Soft Decison Decoding)
     - 디지털 통신 복조기 출력이 2 이상의 양자화된 값에 근거하여 복호하는 것
        . 복조기 출력이 2 이상의 알파벳 또는 양자화근사값으로 구성되고,
        . 이들이 조건확률 또는 우도 등으로 특징짓게되고,
        .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을 토대로 복호를 수행하게 됨

        . 例) 채널 측정 정보를 포함시킨 연판정 값을 이용하여 복호하는 것 
           .. 즉, 추정된 경판정의 정확성에 대한 정보복호 과정에 이용하는 등

        . 例) 극단적으로, 연판정은, 전혀 양자화를 기반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음

     - 사용 例) 블록부호 복호화에서도 사용 가능하나, 
        . 주로, 길쌈부호 복호화에서 많이 사용

     * 한편, 
        . 오류 발생 여부 만을 판정 가능한 경판정과는 달리,
        . 연판정의 경우에는, 
           .. 수신 부호와 전송 가능 부호 간의 유클리드 거리 값의 대소(大小) 크기에 따라, 
           .. 오류 검출 뿐 아니라, 오류 발생 비트에 대한 오류 정정 까지도 가능

  ※ 일반적으로, 
     - 연판정 복호기는 더많은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고 구현이 복잡하나, 
     - 연판정 복호는 경판정 복호 보다 우수한 복호 성능을 갖음

최적 검출/결정/판정/복호
   1. 디지털통신 수신기   2. 오류 확률   3. 오류확률 해석   4. 오류확률 비교   5. 결정규칙   6. ML 규칙   7. MAP 규칙   8. 경판정, 연판정   9. argmin,argmax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