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튜디오 기본 구성
ㅇ 스튜디오 (Studio) :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공간 및 장비 일체
ㅇ 컨트롤룸 (Control Room) : 영상,음향을 조정하고 송출 신호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실
ㅇ 부조정실 (Sub Control Room, Sub Control) : 주조정실(메인 콘트롤룸)과 연결되어,
- 개별 스튜디오를 제어
ㅇ 주조정실 (Main Control Room, MCR) : 전체 방송 송출을 관리,감시하는 중심 제어실
ㅇ 뉴스룸 (Newsroom) : 뉴스 콘텐츠 제작,편집이 이루어지는 공간
ㅇ 프로덕션 룸 (Production Room) : 프로그램 기획,대본,편집,송출 계획을 수행하는 공간
2. 영상 제작 장비 및 시스템
ㅇ 카메라 (Camera) :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ㅇ 카메라 콘트롤 유닛 (CCU) : 카메라의 노출,색상,화이트밸런스를 원격 제어
ㅇ 비디오 스위처 (Video Switcher, Vision Mixer) : 여러 영상 신호를 전환,믹싱하는 장치
ㅇ 모니터 월 (Monitor Wall) : 다수의 영상 모니터가 배열된 감시용 화면
ㅇ 프롬프터 (Teleprompter) : 진행자용 대본 표시 장치
ㅇ 제너레이터 락 (Genlock, 젠록) : 모든 영상 장비를 동일한 동기 신호로 맞추는 장치
ㅇ 웨이브폼 모니터 (Waveform Monitor) :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표시,측정하는 장비
ㅇ 벡터스코프 (Vectorscope) : 색상 신호의 위상과 포화도를 측정하는 장비
ㅇ 영상 서버 (Video Server) : 디지털 영상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네트워크 서버
ㅇ NLE 시스템 (Non-Linear Editing) : 비선형 편집 시스템 (프리미어, 에비드 등)
ㅇ 그래픽 시스템 (CG, Character Generator) : 자막, 그래픽, 타이틀 등을 생성하는 장비
3. 오디오 시스템
ㅇ 오디오 믹서 (Audio Mixer) : 여러 음향 신호를 조합,조정하는 장치
ㅇ 마이크로폰 (Microphone) :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ㅇ 붐 마이크 (Boom Mic) : 카메라 밖에서 음성을 포착하는 이동식 마이크
ㅇ 라발리에 마이크 (Lavalier Mic) : 인체에 부착하는 소형 마이크
ㅇ IFB (Interruptible Foldback) : 진행자에게 지시,피드백을 전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ㅇ 오디오 모니터 스피커 (Monitor Speaker) : 믹싱 음을 청취하기 위한 기준 스피커
ㅇ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DAW) : 음향 편집용 컴퓨터 기반 시스템
ㅇ 오디오 인터페이스 : 마이크/악기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해 컴퓨터로 입력
4. 조명 시스템 ☞ 무대 조명 참조
ㅇ 스튜디오 조명 (Studio Lighting) : 촬영 공간의 밝기,색온도를 제어
ㅇ 프레넬 라이트 (Fresnel Light) : 집광 렌즈를 이용한 일반 조명
ㅇ 소프트 라이트 (Soft Light) : 그림자와 반사를 줄이기 위한 확산 조명
ㅇ 스팟 라이트 (Spot Light) : 특정 인물이나 물체를 강조하는 조명
ㅇ DMX 컨트롤러 (DMX 512) : 디지털 방식으로 조명기기 밝기,색상 제어
ㅇ 라이트 그리드 (Light Grid) : 천장에 설치된 조명기기 고정용 구조물
5. 송출 및 전송 시스템
ㅇ 송출 시스템 (Playout System) :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자동화 시스템
ㅇ 인제스트 (Ingest) : 외부 촬영 소스를 스튜디오 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ㅇ 파일 서버 (File Server) : 프로그램 파일 저장 및 네트워크 공유 서버
ㅇ 라우팅 스위처 (Routing Switcher) : 여러 영상 신호의 경로를 자동으로 전환
ㅇ TS 멀티플렉서 (Transport Stream Multiplexer) : MPEG-2 TS 다중화 장치
ㅇ 모자이크 인코더 (Mosaic Encoder) : 영상 신호의 블록형 깨짐(모자이크 현상)을 제어,복구
ㅇ 송출 모니터링 시스템 : 방송 송출 신호의 품질을 실시간 감시
ㅇ 방송 자동화 시스템 (Automation) : 송출,편성,광고를 자동 제어하는 통합 시스템
6. 전송 및 네트워크
ㅇ STL (Studio to Transmitter Link) : 스튜디오 → 송신소 간의 전송 링크
ㅇ TSL (Transmitter to Studio Link) : 송신소 → 스튜디오로의 모니터링 피드백 링크
ㅇ IP 기반 송출 (IP Playout) : IP 네트워크 기반 방송 전송
ㅇ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용 표준 인터페이스
ㅇ ASI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직렬 전송 규격 (유럽 DVB 표준)
ㅇ NDI (Network Device Interface) :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전송 프로토콜
ㅇ SMPTE ST 2110 : IP 기반 방송 전송 표준
7. 운영 및 품질 관리
ㅇ QC (Quality Control) : 송출 전후의 신호 품질 검사
ㅇ 모자이크 현상 (Mosaic Effect) : 디지털 전송 오류 시 영상이 블록 단위로 깨지는 현상
ㅇ 립싱크 (Lip Sync) : 영상과 음성이 어긋나는 현상
ㅇ 레벨 매칭 (Level Matching) : 신호 간 볼륨 및 밝기 균일화 작업
ㅇ 타임코드 (Timecode) : 영상,음성의 동기 기준 신호
ㅇ 블랙 버스트 (Black Burst) : 기준 동기 신호 제공용 블랙 영상
ㅇ TBC (Time Base Corrector) : 비디오 신호의 시간축 왜곡을 보정하는 장치
8. 방송 IT 및 메타데이터 관리
ㅇ MAM (Media Asset Management) : 미디어 콘텐츠의 관리,검색 시스템
ㅇ NAS/SAN 스토리지 : 고속 데이터 접근용 영상 저장 서버
ㅇ 파일 포맷 변환 (Transcoding) : 방송 표준 형식으로 파일을 변환
ㅇ PMCP, MXF, BXF : 방송용 메타데이터 전송 및 교환 표준
ㅇ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 방송 편성 정보 제공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