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염증 (Inflammation, 炎症)
ㅇ 다양한 자극(손상,감염 등)에 대한 생체 내 국소적 방어 반응
- 주로, 감염 부위에 백혈구가 혈관 밖으로 나와, 병균을 퇴치하는 과정
. 호중구가 초기 반응을 담당
ㅇ 염증 원인
- 물리적 외상, 화학적 물질 손상, 미생물 감염, 면역계 이상 반응 등
ㅇ 염증 징후
* 염증 징후 순서 : 발적(redness) → 발열(heat) → 종창(swelling) → 동통(pain) → 기능장애
- 발적 (Redness) : 염증 부위의 혈류가 증가하여 피부가 붉어짐
- 발열 (Heat) : 염증 부위에 열이 나며, 혈류가 증가하고 면역 반응이 활성화됨
- 종창 (Swelling) : 염증 부위에 액체가 고이면서 부기가 발생
- 동통 (Pain) : 염증으로 인해 신경이 자극을 받아 통증이 발생
- 기능장애 (Function Loss) : 염증 부위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제한됨
ㅇ 염증 반응 연관성 : (염증 반응에 참여하는 요소)
- 면역 세포 : 염증 부위로 이동한 백혈구 (호중구, 단핵구 등)
- 혈관 :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면역 세포가 염증 부위로 이동
- 생리 활성 물질 :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화학 물질 (사이토카인, 히스타민 등)
ㅇ 염증 구분
- 급성 염증 : 경과 빠름, 심한 증상, 삼출 많음, (호중구,단핵구)
- 만성 염증 : 경과 느림, 약한 증상, 삼풀 미미, (림프구,형질세포,대식세포)
ㅇ 염증 물질
- C-반응성 단백 (CRP, C-reactive protein)
- 인터루킨 (IL-1β, IL-6)
- 종양괴사인자 (TNF-α)
* 염증 발생시, 이들이 분비되고, 혈류를 타고 전신에 염증 반응의 지속적 자극원이 됨
2. [참고사항]
ㅇ 삼출액 (Exudate)
- 염증 부위 혈관의 투과성이 높아져,
- 혈관 내 혈장,혈구,단백질 성분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와,
- 혈관 밖 조직에 고이는 액체 (부기 유발)
ㅇ 염증 억제 관여 기관
- 내분비계(부신), 면역계(비장, 림프절, 골수), 자율신경계(미주신경),
소화기계(장내 미생물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