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망원경 (望遠鏡, Telescope)
ㅇ 빛의 굴절에 의해 원거리 물체를 보이게 하는 광학기구
-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발명
- 1609년 갈릴레이가 천체 관측에 최초 사용
2. 망원경 원리
ㅇ 대물 렌즈는 원거리 물체의 상을 초점에 형성케하고,
ㅇ 이것이 접안 렌즈로 하여금 물체로써 확대 작용하고,
ㅇ 결국, 눈이 원거리 물체를 보이게 함
3. 망원경 구분
ㅇ 굴절 망원경 : (케플러식)
* (대물렌즈를 통해 빛을 굴절시켜 초점에 모음)
- 집광 : 굴절 렌즈 사용
- 수차 : 색수차 때문에 색깔이 번져 보임
* (과거 천체 망원경 또는 아마추어 천체 망원경)
ㅇ 반사 망원경 : (뉴턴식)
* (오목한 포물면인 주경을 통해 반사된 광선을 한 곳에 모으고,
이 곳 부경에서 확대된 상을 접안 렌즈에 띄움)
- 집광 : 반사 거울 사용
- 수차 : 구면수차 때문에 상이 일그러져 보임
* (천체 전문 망원경)
4. 굴절 망원경
ㅇ 빛의 굴절을 이용해 상을 맺는 방식
- 초창기 천체 관측에 주로 사용
ㅇ 구성
- 대물 렌즈 : 멀리 있는 물체의 빛을 굴절시켜 초점에 모음
. 많은 빛을 모으는 역할
. 크고 무거우며, 비교적 긴 초점거리를 가짐
- 접안 렌즈 : 대물 렌즈 초점에 맺힌 상을 확대하는, 간단한 블록 렌즈
ㅇ 특징
- 집광 : 굴절 렌즈 사용
- 수차 : 색수차(파장별 굴절률 차이)로 색 번짐 발생
ㅇ 현재 용도 : 교육용,아마추어용 천체 망원경에 주로 사용
5. 반사 망원경
ㅇ 대물 렌즈 대신 오목 거울(주경)로 빛을 반사시켜 초점에 모음
- 1668년 뉴턴이 최초 제작
ㅇ 구성
- 주경 : 오목 포물면 거울로 평행 광선을 초점에 모음
- 부경 : 반사된 빛을 옆으로 보내 접안 렌즈로 유도
- 접안 렌즈 : 상을 확대하여 눈으로 관찰
ㅇ 특징
- 집광 : 거울 반사로 많은 빛을 모음 (대구경 가능)
- 수차 : 구면수차 발생 가능, 포물면 거울로 보정
- 색수차 없음 : 굴절이 아닌 반사 원리
ㅇ 용도
- 대형 천체 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 켁 망원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