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assic Bluetooth Protocol Stack   기존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 (2015-04-09) | 
| RFCOMM | 
1.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ㅇ classic BR/EDR(버전 1.0, 2,0) 프로토콜 스택
     ㅇ BLE 프로토콜 스택 : 보다 단순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음
2. 블루투스 호스트 블럭
  ㅇ 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
     - 아무런 사전 설정 및 사후 조치 없이도, 장치를 발견하고 곧바로 접속하고 그 목적을
       다하면 바로 끊어버리기 위한 프로토콜
  ㅇ OBEX (Object Exchange)
     - IrDA 통신방식으로부터 채용된 비트 지향형 프로토콜
        . 다양한 장치 간에 이진 데이터 교환
     -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구조
  ㅇ TCS (Telephony Control protocol Speccification) 
     - 블루투스 기기 사이에서 주로 음성를 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신호
        . ITU-T Q.931에 바탕을 둔 전화 제어 시그널링 프로토콜
  ㅇ RFCOMM 
     - RS232C와 같은 직렬 통신 지원 (Emulation)
        . 단일 연결 상에서의 다중화 지원
  ㅇ L2CAP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ion Protocol)
     - 소프트웨어적인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하위 물리적인 프로토콜 계층과의 
       데이터성 연결 지원
3.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ㅇ `칩셋 중심의 하드웨어성 컨트롤러`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호스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4. 블루투스 컨트롤러 블럭
  ㅇ 특정 주문제작 형태의 칩셋 중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
  ㅇ 컨트롤러 통신계층 구분 : Link Manager Layer / Baseband Layer / Radio Layer
  ㅇ BLE 프로토콜 스택 : 보다 단순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음
2. 블루투스 호스트 블럭
  ㅇ 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
     - 아무런 사전 설정 및 사후 조치 없이도, 장치를 발견하고 곧바로 접속하고 그 목적을
       다하면 바로 끊어버리기 위한 프로토콜
  ㅇ OBEX (Object Exchange)
     - IrDA 통신방식으로부터 채용된 비트 지향형 프로토콜
        . 다양한 장치 간에 이진 데이터 교환
     -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구조
  ㅇ TCS (Telephony Control protocol Speccification) 
     - 블루투스 기기 사이에서 주로 음성를 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신호
        . ITU-T Q.931에 바탕을 둔 전화 제어 시그널링 프로토콜
  ㅇ RFCOMM 
     - RS232C와 같은 직렬 통신 지원 (Emulation)
        . 단일 연결 상에서의 다중화 지원
  ㅇ L2CAP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ion Protocol)
     - 소프트웨어적인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하위 물리적인 프로토콜 계층과의 
       데이터성 연결 지원
3.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ㅇ `칩셋 중심의 하드웨어성 컨트롤러`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호스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4. 블루투스 컨트롤러 블럭
  ㅇ 특정 주문제작 형태의 칩셋 중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
  ㅇ 컨트롤러 통신계층 구분 : Link Manager Layer / Baseband Layer / Radio Layer
      ㅇ LM (Link Manager, 링크 관리자)
     - 상위 HCI 명령어를 통해 전달 받은 명령어에 따라,
        . 블루투스 장치를 구동하거나,
        . 베이스밴드 계층에서의 동작으로 그 명령어를 번환해 줌
     - L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블루투스 장치의 LM 관리자와 통신도 함
  ㅇ LMP (Link Manager Protocol, 링크 관리자 프로토콜)
     - LM 실체 간에 주고받는 프로토콜
        .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링크를 설정 조정
        . 패킷 크기 결정
        . 인증,암호화 같은 보안 기능 제어
  ㅇ Baseband Layer 또는 Link Layer 또는 Link Controller(LC)
     - 2 이상의 장치 간에 물리적 연결 및 링크 관리
  ㅇ LM (Link Manager, 링크 관리자)
     - 상위 HCI 명령어를 통해 전달 받은 명령어에 따라,
        . 블루투스 장치를 구동하거나,
        . 베이스밴드 계층에서의 동작으로 그 명령어를 번환해 줌
     - L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블루투스 장치의 LM 관리자와 통신도 함
  ㅇ LMP (Link Manager Protocol, 링크 관리자 프로토콜)
     - LM 실체 간에 주고받는 프로토콜
        .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링크를 설정 조정
        . 패킷 크기 결정
        . 인증,암호화 같은 보안 기능 제어
  ㅇ Baseband Layer 또는 Link Layer 또는 Link Controller(LC)
     - 2 이상의 장치 간에 물리적 연결 및 링크 관리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