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색 정합, 색 일치, 색 대응 (Color Matching)
  ㅇ 하나의 색을 다른 색과 일치시킴으로써 색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
2. 등색에 대한 색 지각 특성
  ㅇ 색 지각
     - 서로 다른 분광시감도를 갖는 3 종류의 추상체의 색 지각 때문에,
     - 모든 단색 광은, 3개의 색자극량에 의해, 시각적으로 등색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음
     * ☞ 메타메리즘 참조
  ㅇ 색의 혼합 및 비교에 의한 색의 결정
     - 삼원색을 적절히 혼합하면(가색혼합), 임의의 색을 재현가능하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 어떤 특정한 색 구현을 위해 원색(Primary Color)의 혼합량을 조절해가며,
     - 시각적 실험론에 의해 색 결정이 가능
3. 색정합의 실험적 측정
  ㅇ 대상 색 광원을 표준 색 광원과 비교하는 색측정기(Colorimeter)를 사용하여 수행됨
  ㅇ 색측정기 구성 例)
      4. 색 정합의 수학적 표현 및 측정
  ㅇ 등색 함수, 색 대응 함수, 색 정합 함수, 색 성분 곡선 
     (Color Matching Function, Color Mixture Curve)
     - 색에 대한 시각 반응 정도를 수치화시켜 표현한 그래프 함수
        . 스펙트럼 3 자극치를 파장의 함수로써 나타냄
        . 단색광 3자극치를 파장에 따라 표시한 함수
        . 어느 단색광(시료광)과 등색하는데 필요한 R,G,B 혼합량
4. 색 정합의 수학적 표현 및 측정
  ㅇ 등색 함수, 색 대응 함수, 색 정합 함수, 색 성분 곡선 
     (Color Matching Function, Color Mixture Curve)
     - 색에 대한 시각 반응 정도를 수치화시켜 표현한 그래프 함수
        . 스펙트럼 3 자극치를 파장의 함수로써 나타냄
        . 단색광 3자극치를 파장에 따라 표시한 함수
        . 어느 단색광(시료광)과 등색하는데 필요한 R,G,B 혼합량
        ㅇ 일반적으로, 색 대응 함수라하면, 
     - 위 그래프 선도에서 파랑 광을 증가하여, 함수를 변환함으로써,
     - 음수량 없이 모두 양수화시킨, CIE XYZ 색체계를 의미
  ㅇ 일반적으로, 색 대응 함수라하면, 
     - 위 그래프 선도에서 파랑 광을 증가하여, 함수를 변환함으로써,
     - 음수량 없이 모두 양수화시킨, CIE XYZ 색체계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