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1588   정밀 시각 동기 프로토콜

(2025-10-30)

Precision Time Protocol, PTP


1. IEEE 1588이더넷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 마이크로 초(μs) ~ 나노 초(ns) 단위시각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한,
     - 고 정밀 시각 동기프로토콜 (Precision Time Protocol) 표준 임

  ㅇ 표준명  :  IEEE 1588
     — "Precision Clock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Networked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s"

  ㅇ 용도  :  통신,전력,방송,공장 자동화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됨


2. 구성 요소

  ㅇ Master Clock  :  기준 시간을 제공하는 장치 (例: GPS 동기 기준)
  ㅇ Slave Clock  :  마스터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보정하는 장치
  ㅇ Boundary Clock (BC)  :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 중간 노드로, 시각 계산 후 재전송
     - 각 포트별로 독립적인 클록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구간별 국소적 보정 수행 가능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계층적 동기화 유지 가능.
  ㅇ Transparent Clock (TC)  :  통과 지연(Time Delay)을 보정하여 전파 지연 오차를 줄임
     - 메시지스위치를 통과할 때 걸린 지연시간을 측정,기록하여 패킷에 삽입하면,
     - 슬레이브가 이를 감안해 보정 가능
     - 따라서, 네트워크 홉 수가 많아도 동기 정확도 유지 가능
  ㅇ Grandmaster Clock  :  전체 네트워크에서 최상위 기준이 되는 마스터


3. 동작 원리 및 개요

  ㅇ 원리  :  이더넷 네트워크 상에서, 마스터(clock source)와 슬레이브(clock client) 간에,
     - 서로 메시지를 교환하여
     - 시각 차(Offset)와 전송 지연(Time Delay)을 계산하고,
     - 슬레이브가 자신의 시계를 보정하는 것

  ㅇ 4 종류 메세지
     - Sync (Master → Slave)  :  마스터의 전송 시각(T1)을 슬레이브에 알림
     - Follow_Up (Master → Slave)  :  Sync 메시지의 실제 전송 시각을 정밀하게 전달
        . (하드웨어 타임스탬프 보정용)
     - Delay_Req (Slave → Master)  :  슬레이브가 마스터에게 자신의 측정 시점을 알림
     - Delay_Resp (Master → Slave)  :  Delay_Req 수신 시각(T4)을 알려줌으로써, 왕복 지연 계산

  ㅇ 전송 시각
     - T1  :  마스터가 Sync 메시지를 전송한 시각
     - T2  :  슬레이브가 Sync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
     - T3  :  슬레이브가 Delay_Req 메시지를 전송한 시각
     - T4  :  마스터가 Delay_Req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
     * 슬레이브는, 이들 값으로 시각 차(Offset) 및 전송 지연(Delay)을 추정 계산하여, 시계를 보정


4. 버전별(v1,v2) 비교

  ※ [범례  :  ① IEEE 1588-2002 (v1), ② IEEE 1588-2008 (v2)]
  ㅇ 정밀도  :  ① μs 수준,  ② ns 수준까지 향상
  ㅇ 통신 구조  :  
     - ① 단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
     - ② 다계층 (마스터, 슬레이브, Boundary Clock, Transparent Clock 등)
  ㅇ 메시지 종류  :  
     - ① 기본 4종류 (Sync, Follow_Up, Delay_Req, Delay_Resp)
     - ② 동일 4종류 + 관리용 메시지, Signaling 등 추가
  ㅇ 네트워크 지원성  :  ① 주로 LAN 환경 (비 IP 기반),  ② IP 기반 (UDP 포트 319/320 사용) 확장
  ㅇ 호환성  :  ① v1 장치와 v2 장치 간 비호환,  ② —
  ㅇ 프로파일 개념  :  ① 없음,  ② PTP Profile 개념 도입 (산업별 맞춤 설정 가능)


5. 주요 프로파일 例)

  ㅇ Default Profile  :  (IEEE 1588) 
  ㅇ Telecom Profile  :  (ITU-T G.8265.1 / G.8275.x)
     - 통신망 (4G, 5G, LTE 등),	패킷망 등에서 주파수/위상 동기 제공
  ㅇ Power Profile  :  (IEEE C37.238)	
     - 전력망 (Smart Grid) 용도로, 보호계전기,계측장비 간 동기화용
  ㅇ Aerospace & Defense Profile  :  (IEEE 1588 Annex) 
     - 항공/군수용으로, 고 정밀,고 신뢰적 동기화 추구
  ㅇ AVB / TSN Profile  :  (IEEE 802.1AS)
     - 오디오/비디오/자동차 이더넷용으로, 저 지연 스트리밍 및 시간 민감 네트워킹 지원
  ㅇ White Rabbit Profile  :  (CERN 프로젝트)
     - 과학 실험(입자 가속기 등)용으로, 피코초(ps) 단위 정밀도 실현


6. 산업별 주요 적용 例)통신망 시각 동기화 (4G/5G, O-RAN 등)
  ㅇ 방송 네트워크 (SMPTE ST 2059)
  ㅇ 전력 시스템 (IEC 61850-9-3, IEEE C37.238)
  ㅇ 공장 자동화 및 산업 제어 (TSN 기반)
  ㅇ 과학,연구 장비 간 고정밀 동기화

디지털 방송 동기
1. MPEG 시스템 시간 동기   2. IEEE 1588   3. 립싱크 (Lip Sync)  
동기 기타일반
1. 비동기식   2. 비트스터핑   3. 프리엠블   4. IEEE 1588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