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디오 레벨 미터
ㅇ 전기 파형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의 전압 레벨(크게,평균 및 피크)에 따른 음량 관측용 계기
- 피크값(peak) 지시 : PPM 미터
- 실효값(rms) 지시 : VU Meter
- LUFS (LKFS) 지시 : (사람의 청감을 고려한 Loudness Meter) (주로,방송용)
※ 오디오 신호 특징
- 불규칙한 주파수에 아주 넓은 레벨 변동을 갖으므로,
- 측정량 평가에 세심한 주의 필요
- 따라서, 실효값 및 피크값 등 모두 파악 필요
※ 한편,
-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가 아닌 공기 중 음압 레벨의 직접 측정은, ☞ 사운드 레벨 미터 참조
2. PPM (Peak Program Meter) 미터
ㅇ 오디오 신호의 피크값 만을 연속으로 보여주는 지시계기
ㅇ 특징
- 순간 피크값을 0.01초 이내에 빨리 지시하고 약 3초 동안 긴 시간동안 유지
. Sample and Hold 기법 적용
- 레벨 스케일 범위 : (BBC 타입인 경우) 숫자 1 ~ 7 정도
. 1,2번 간 레벨 차이 : 6 dB, 나머지 번호들 간 레벨 차이 : 4 dB
3. VU Meter (Volume Unit Meter)
ㅇ 오디오 신호의 평균적인 전압 레벨을 지시하는 전압계 형태의 계측장비
ㅇ 출현
- 1940년도에 미국 CBS,NBC,벨연구소가 공동으로 방송 오디오 레벨 감시용으로 만든 것
ㅇ 특징
- 동특성(dynamic characteristic) : 과도응답 특성
. 1 kHz 정현파 인가시 지침 지시가 최종치 99% 도달까지 0.3초(상승시간) 걸리도록 함
.. (지침 바늘의 빠른 움직임에 제한을 줌)
- 표시치 : 시간에 따른 평균적인 rms 전압 레벨을 표시
. 음량(volume units)에 기여하지 않는 순간적인 피크값들을 무시
- 레벨 스케일 범위 : -20 VU ~ + 3 VU 정도
. 통상, 0 VU는 음향 스튜디오 내에서 공칭 표준 레벨로 정하게 됨
4. LUFS (Loudness Units Full Scale) : Loudness Meter (라우드니스 미터)
ㅇ 인간의 청감 특성(주파수 의존성, 지속시간, 마스킹 등)을 반영하여 측정한,
지각적 음량(Loudness) 단위
- 기존의 PPM, VU Meter가, 단순 전기적 레벨을 표시하는 데 그친 반면,
- LUFS는,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크기"를 정량화함
ㅇ 표준화
- EBU R 128 (유럽방송연합) 및 ITU-R BS.1770 계열 표준에 따라 정의됨
. 특히, ITU에서는, Loudness 측정 필터로써, K-weighting filter (청감 보정 필터) 사용 권장
ㅇ 측정 단위
- LU (Loudness Unit) (상대 단위) : 기준점 대비 상대적 음량 변화 (1 LU ≈ 1 dB)
- LUFS (Loudness Units Full Scale) (절대 단위) : 디지털 0 dBFS 기준의 절대 음량
- LKFS (Loudness, K-weighted, Full Scale) (절대 단위) : LUFS와 동일
. LKFS, 북미권 표기로써, K - 가중 필터를 구체적으로 명시함
ㅇ 주요 지표
- Integrated Loudness (전체 평균) : 프로그램 전체의 평균 라우드니스
- Short-term Loudness (단기 평균) : 약 3초 구간의 평균
- Momentary Loudness (순간적) : 약 400ms 구간의 평균
- True Peak Level (TP) : 실제 디지털 신호의 최대 피크 (인터 샘플 피크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