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X.21
  ㅇ CCITT에서 DTE로 명명한 사용자 장비(컴퓨터 등)와 DCE로 명명된 통신회사 장비 간에
     통신의 시작이나 종료를 하는 절차/방법을 전기적,기계적으로 규정함
2. X.25 와 X.21 차이
  ㅇ X.25가 패킷교환망에 대한 엑세스 표준인 것에 비해,  
  ㅇ X.21은 회선교환망에 대한 엑세스 표준이다.
3. DTE 및 DCE간 접속도
   ┌────┐     송  신       T ┌────┐
   │        │──────────│        │
   │        │     제  어       C │        │
   │        │──────────│        │
   │        │     수  신       R │        │
   │        │──────────│        │
   │   DTE  │     지  시       I │   DCE  │←──────────────
   │        │──────────│        │──────────────→
   │        │신호요소 타이밍   S │        │  
   │        │──────────│        │
   │        │바이트 타이밍     B │        │
   │        │──────────│        │
   │        │      접  지      G │        │
   │        │──────────│        │
   └────┘                    └────┘
                                             │
                                   단말측  ←│→  망측
                                             │
4. X.21 인터페이스
  ㅇ X.21은 OSI의 1~3 계층에서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지만 인터페이스는 매우 간단함
  ㅇ X.21은 RS-232C와는 달리 15핀의 커넥터를 사용
     또한 T와 R 회로를 사용자 데이타와 제어신호 겸용으로 사용
5. X.21 bis 란?
  ㅇ X.21 bis 는 기존의 RS-232C/V.24에 근거한 아날로그 장치들을 디지털 회선교환망에
     사용되는 X.21 프로토콜에 쉽게 적용시키기 위한 대체용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 즉, 디지털 통신망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 아날로그 통신망에서 유용하게 사용했던
           중간 단계의 표준안  
     - 이것은 사실상 RS-232C 임
        . 다만 RS-232C는 25핀을 정의하였으나, X.21 bis 는 이중에서 8핀 만을 사용
  ㅇ X.21 bis 는 일반적으로 X.25 패킷교환망에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사용함
     - 여기서, bis 라는 표현은 표준안의 두 번 째 버젼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