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AM 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2021-03-10) |
1.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ㅇ 반송파 진폭을 정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 2. 진폭 변조의 의미 ㅇ `시간 곱셈` 및 `주파수 천이` - 기저대역 신호를 반송파와 곱하는 형식을 취함 (곱셈변조기) - 기저대역 스펙트럼을 특정 통과대역으로 이동시키게됨 (주파수천이) ㅇ 포락선(Envelope) 변조 - 신호의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에 변화를 주어, 그 포락선(Envelope)이 변조된 신호 파형이 되도록 한 변조 방식임![]()
ㅇ 진폭변조는 선형변조라고도 함 - 정보신호의 스펙트럼을 반송파 주파수대 부근으로 옮기는 것 외에 새로운 주파수를 발생시키지 않음 . 정보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형태를 변화하지않고 전송 3. 진폭 변조의 종류 : 반송파(Carrier),측파대(Sideband)의 전송 여부에 따라 ㅇ 전통적인 양측파대 진폭변조 (DSB-TC 또는 Conventional AM) - 반송파와 양 측파대 모두 전송
ㅇ 양측파대 반송파억압 진폭변조 (DSB-SC) - 반송파가 제거되고 양 측파대 만 전송
ㅇ 단측파대 진폭변조 (SSB) - 한쪽 측파대 만 전송
ㅇ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VSB) - 한쪽 측파대 모두와 다른쪽 측파대 일부를 전송
4. 진폭 변조의 특징 ㅇ 전송 대역폭 : BT = 2W - 기저대역에 비해 2배의 대역폭 필요 ㅇ 평균 전송 전력 - AM 방식 : ST = Pc + 2Psb - DSB 방식 : ST = 2Psb - SSB 방식 : ST = Psb . ST : 전송전력, Pc : 무변조 반송파전력, Psb : 측파대별 전력(실제 신호정보) ㅇ 변조 척도 ☞ 변조지수, AM 변조지수 참조 ㅇ 변조 전력효율 ☞ AM 변조효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