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플리터 (Splitter)
   ㅇ 일반적으로, 특정 신호들을 특성에 맞게 분리하여 주는 장치
   
2. ADSL 스플리터 (ADSL Splitter)
 
  ㅇ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
     - 이는 가입자댁내 및 전화국내 양쪽에 반드시 설치해야 됨. 
     - UADSL 경우에는 스플리터 불필요
3. 광 스플리터 / 광 분파기 (Optical Splitter), 빔 스플리터 (Beam Splitter)
  ㅇ 입사하는 빛(광 빔, Light Beam)을, 2 이상의 빔으로 분리하는 광학 소자
  ㅇ 주요 유형
     - 평면형 (Plate Beam Splitter)  :  얇은 평면 유리판 위에 반투명 코팅   ☞ 평판 광도파로 참조
     - 큐브형 (Cube Beam Splitter)  :  두 프리즘을 합쳐 한 면에 반사막을 넣음
     - 폴라라이징 빔 스플리터 (PBS)  : 편광 상태에 따라 빛을 분리   ☞ 편광 분리기 참조
        . 例) s 편광, p 편광 분리 등
     - 파장 분리형 (Dichroic Beam Splitter)  :  파장에 따라 빛을 분리  ☞ 파장분할 다중화 참조
        . 例) 적색, 청색 분리 등
  ㅇ 주요 역할
     - 입력 빛(광 빔, Light Beam)을 여러 도파로/포트로 분리하는 것 
     - 대부분, 광 전력을 나누게 됨
     * 기타 감시/제어용 등에 활용
        . 광원기 등의 광 신호 출력 일부를 분기하여, 국지적인 감시/제어용으로도 활용
  ※ [참고] ☞ 광 커플러 참조
     - 광 전력를 2 이상으로 분배/분파하거나 하나로 결합하는 광 수동소자
  ※ [PON 활용] 광 코어 절감 및 망 구성에 유연성 제공
     - 광대역 엑세스망인 PON 방식에서는, 수동소자인 광 스플리터를 사용하여,
     - 주로 하향 데이터를 분기하여 광코어 절감 및 망구성에 유연성을 제공
          . WDM-PON 방식에서는, 파장 분리기(1:16, 1:32) 이라고 하며,
        . E-PON/G-PON/ATM-PON에서는, 광 스플리터(1:2, 1:4, 1:8, 1:32) 이라고 함
     - 분기 방식
        . 통상, 최소 3개에서 32개 이상의 포트를 가지며, 분기(분파)할 수 있음
        . 例) 3개의 포트(입:출=1:2)의 분파 형태는 T 커플러라고도 함  ☞ 광 커플러
        . WDM-PON 방식에서는, 파장 분리기(1:16, 1:32) 이라고 하며,
        . E-PON/G-PON/ATM-PON에서는, 광 스플리터(1:2, 1:4, 1:8, 1:32) 이라고 함
     - 분기 방식
        . 통상, 최소 3개에서 32개 이상의 포트를 가지며, 분기(분파)할 수 있음
        . 例) 3개의 포트(입:출=1:2)의 분파 형태는 T 커플러라고도 함  ☞ 광 커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