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통적인 양측파대 진폭변조 방식 (Conventional AM)
  ㅇ 반송파, 상, 하 측파대(Side Band) 3가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변조방식
       - 반송파를 함께 송출함에 따라, 송출전력이 커지는 등 효율이 좋지 않으나, 
     - 수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 AM 방송에 이용
  ※ (명칭)
     - `양측파대 전송 반송파 진폭변조` 등으로 불리움
     - (DSB-TC, Transmitted Carrier), (DSB-LC, Large Carrier) 
2. 전통적인 진폭변조(conventional AM)의 신호 
  ㅇ 진폭변조 신호 발생의 구조
     - 반송파를 함께 송출함에 따라, 송출전력이 커지는 등 효율이 좋지 않으나, 
     - 수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 AM 방송에 이용
  ※ (명칭)
     - `양측파대 전송 반송파 진폭변조` 등으로 불리움
     - (DSB-TC, Transmitted Carrier), (DSB-LC, Large Carrier) 
2. 전통적인 진폭변조(conventional AM)의 신호 
  ㅇ 진폭변조 신호 발생의 구조
      ㅇ 시간영역에서 신호의 표현
     -   s(t) = A [1 + a m(t) ] cos(2πft)
        .  m(t) : 원 신호 파형 (기저대역 메세지 신호 파형)
        .  s(t) : 변조된 신호 전송 파형
        .  Acos(2πft) : 정현 반송파 파형
        .  A [1 + a m(t) ] : 포락선
        .  a : 변조지수
  ㅇ 시간영역에서 신호의 표현
     -   s(t) = A [1 + a m(t) ] cos(2πft)
        .  m(t) : 원 신호 파형 (기저대역 메세지 신호 파형)
        .  s(t) : 변조된 신호 전송 파형
        .  Acos(2πft) : 정현 반송파 파형
        .  A [1 + a m(t) ] : 포락선
        .  a : 변조지수
        ㅇ 주파수영역(푸리에변환)에서 신호의 표현
     -   M(f)   ↔   S(f) = A/2 [δ(f-f)+δ(f+f)] + aA/2 [M(f-f)+M(f+f)]
  ㅇ 주파수영역(푸리에변환)에서 신호의 표현
     -   M(f)   ↔   S(f) = A/2 [δ(f-f)+δ(f+f)] + aA/2 [M(f-f)+M(f+f)]
         ㅇ 신호의 주요 구성 성분
     - 크게 `양측파대 진폭변조된 성분` 및 `반송파 성분`으로 구성됨
        . 반송파 성분 : Acos(2πft), 
        . 양측파대 성분 : A a m(t) cos(2πft)
  ㅇ 변조지수  ☞  AM 변조지수 참조
3. 전통적인 진폭변조(conventional AM)의 주요 특징
  ㅇ 용도
     - 무선통신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실시되어온 변조방식으로,
       중파 방송, 단파 방송 등 라디오 방송에 주로 쓰임
  ㅇ 장점 및 단점
     - 전력 낭비 : 정보와는 관련없는 반송파 성분이 전체 전력의 67% 정도 차지함
     - 대역폭 낭비 : 실제 메세지 신호 대역폭의 2배가 필요함
     - 수신측은 간단한 반면에, 송신측은 큰 전력송출,전송대역폭이 필요함
        . 수신기는 포락선 검파기라는 매우 간단한 수신기술로도 복조가 가능
        . 따라서, AM 방송과 같은 응용에 쓰임. 1대1 통신에서는 DSB-SC 방식이 선호됨
  ㅇ 주파수 대역폭
     -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신호파에 포함되는 가장 높은 주파수의 2배가 됨
  ㅇ 변조기 및 복조기
     - 변조기 : 곱셈 변조기, 스위칭 변조기, 제곱 변조기(비선형 변조기) 등
     - 복조기 : 포락선 검파기, 제곱 검파기 등
        . 보통, 동기식 검파 보다는 비동기식 검파(복조) 방식인 포락선 검파 방식을 많이 사용
  ㅇ 신호의 주요 구성 성분
     - 크게 `양측파대 진폭변조된 성분` 및 `반송파 성분`으로 구성됨
        . 반송파 성분 : Acos(2πft), 
        . 양측파대 성분 : A a m(t) cos(2πft)
  ㅇ 변조지수  ☞  AM 변조지수 참조
3. 전통적인 진폭변조(conventional AM)의 주요 특징
  ㅇ 용도
     - 무선통신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실시되어온 변조방식으로,
       중파 방송, 단파 방송 등 라디오 방송에 주로 쓰임
  ㅇ 장점 및 단점
     - 전력 낭비 : 정보와는 관련없는 반송파 성분이 전체 전력의 67% 정도 차지함
     - 대역폭 낭비 : 실제 메세지 신호 대역폭의 2배가 필요함
     - 수신측은 간단한 반면에, 송신측은 큰 전력송출,전송대역폭이 필요함
        . 수신기는 포락선 검파기라는 매우 간단한 수신기술로도 복조가 가능
        . 따라서, AM 방송과 같은 응용에 쓰임. 1대1 통신에서는 DSB-SC 방식이 선호됨
  ㅇ 주파수 대역폭
     -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신호파에 포함되는 가장 높은 주파수의 2배가 됨
  ㅇ 변조기 및 복조기
     - 변조기 : 곱셈 변조기, 스위칭 변조기, 제곱 변조기(비선형 변조기) 등
     - 복조기 : 포락선 검파기, 제곱 검파기 등
        . 보통, 동기식 검파 보다는 비동기식 검파(복조) 방식인 포락선 검파 방식을 많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