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메뉴 닫기 |
Step Index Fiber, Graded Index Fiber 계단형 굴절률, SI 광섬유, 언덕형 굴절률, GI 광섬유 | (2011-02-05) |
SI Fiber, GI Fiber |
1. 개요 ㅇ 계단형 굴절률 광섬유 (Step Index Fiber) - 광섬유 단면의 굴절률 분포가 코어 및 클래드 사이에서 급격하게 변하는 형태의 광섬유 ㅇ 언덕형 굴절률 광섬유 (Graded Index Fiber) - 광섬유의 코어중심에서 굴절률이 가장 크고 클래드 쪽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조금씩 줄어들어, 굴절률 분포가 마치 언덕처럼 둥그스럼하게 되어 있는 광섬유 형태 2. 부가설명 ㅇ 계단형 굴절률의 다중모드 광섬유 - 모드분산 특성이 나빠 전송 대역폭이 수십 MHz로 비교적 좁다. ㅇ 언덕형 굴절률의 다중모드 광섬유 - 광의 진행경로가 굴절률이 적은 곳으로 진행하면 광의 속도가 굴절률의 감소에 비례 하여 증가하므로 직진하는 광과 클래드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속도가 거의 같아서 출력단의 속도차가 거의 없게 되어서, - 모드간 분산 효과가 적어짐![]()
[광섬유 종류] | 1. 광섬유 종류 2. 광섬유 특성별 분류 3. MMF(멀티모드 광섬유) 4. SMF(싱글모드 광섬유) 5. DCF(색분산 보상용 광섬유) 6. DSF(분산천이형 광섬유) 7. EDF(광증폭 광섬유) 8. NZ-DSF(비영분산천이 광섬유) 9. LWPF(무수 광섬유) 10. Dark Fiber 11. 표준 단일모드 광섬유 12. 플라스틱 광섬유 13. 편광유지 광섬유 14. SI,GI 광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