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전기표준위원회 (IEC)
ㅇ 전기 기술 전반에 걸쳐 전기,전자,원자력 분야 등의 표준화에 관한 국제협력을 도모하고,
각국의 의사를 집결한 1906년 발족한 비정부간 협의 및 표준화기구
2. IEC 설립목적 및 창설시기
ㅇ 전기 및 전자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표준화에 관한 국제협력을 목적
ㅇ 1904년 미국의 센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국제전기대회에서 결의하여 1906년에 창설
3. 조직, 재원, 표준개발
ㅇ 174개의 전문위원회(TC)와 분과위원회(SC), 538개의 작업그룹(WG)
- 전문위원회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동 문서가 정회원인 국가위원회(IEC 회원)에 제
출되면 국제규격으로서의 승인을 위하여 투표를 실시
ㅇ 재원
- 회원기관의 분담금(60%), 간행물판매(40%) 등
- 분담금 기준은, 회원 국가의 경제능력 및 전력소비를 기반으로 책정됨
ㅇ 표준개발
- 2016년 현재 9,855종의 표준을 개발,보유
- 활동 기관 : TC, SC, WG
. (TC : Technical Committee 기술위원회, SC : Subcommittee 분과위원회,
WG : Working Group 작업그룹)
- 주요 표준화 분야
. 에너지 생산,송전,배전,저장, 자동차, 오디오,비디오,멀티미디어, 전기설비, 전기모터,
산업자동화, 램프및 조명, 스마트시티, 폭발위험환경, 가전제품, 재생에너지 등
- ISO와의 표준화 협력 : 1976년 협정 맺음
. ISO와의 합동기술위원회(1978년11월) ☞ ISO/IEC JTC1 참조
※ [참고문헌] `2018 세계의 표준화기관` (KSA 한국표준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