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바 언어에서의 자료형 구분
※ 자바 언어는 안정성,강건성을 위해 자료형에 대한 강한 규제가 존재함
- 예로써,
. 다른 데이터형 변수에 다른 형의 데이터를 넣을 수 없음
. 전역 변수를 지원하지 않는 등 ☞ 변수 종류 참조
ㅇ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 : 변수 값 저장
- 문자형 : char (2 바이트)
. 문자는 컴퓨터 내에 정수값으로 표현되므로, 정수형으로도 분류됨
. 단, char형은 음수값 표현 불가능
- 정수형 : byte (1), short (2), int (4), long (8 바이트)
- 실수(부동소수점)형 : float (4), double (8 바이트)
- 논리형 : boolean (1 바이트)
ㅇ 참조 자료형 (Reference Data Type)/추상 자료형 (Abstract Data Type) : 객체 위치 저장
- 클래스형(Class Type)
. 이미 JDK에서 제공 : String, Date 등
- 인터페이스형(Interface Type)
- 배열형(Array Type)
2. 자바 언어에서 변수의 종류 (변수가 선언되는 위치에 따라서 구분)
ㅇ 인스턴스 변수 (멤버 필드)
- 메소드 정의문 밖에서 선언되고 정의됨
. 객체의 속성을 정의하는데 쓰임
. 통상 클래스 정의문 바로 아래에서 정의됨
ㅇ 지역 변수 (로컬 변수)
- 메소드 정의 내에서만 의미를 갖게 됨
. 메소드 정의문 안에서 쓰이거나, 메소드 내 블록 구문 안에서도 쓰임
ㅇ 클래스 변수
- 클래스 구현 객체 각각이 아니고, 클래스 전체에 적용이 되는 변수
. 클래스 내부에 static 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선언되는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