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썬 기본 자료형
ㅇ 수치형 : int(정수), float(실수), complex(복소수)
- 한편, 3.x 부터는, long형이 사라지고, int형이 크기 제한 없는 부호 있는 정수가 됨
. 즉, 파이썬 정수 크기는,
. 다른 언어가 컴파일러에 의하는 것에 비해, 컴퓨터 메모리에 의해서 만 제한됨
. 정수 크기를 나타내는 바이트 수의 확인 : (정수).bit_length() 메서드
ㅇ 부울형 : bool (값 : True/False)
2. 파이썬 수치형 자료 표현
ㅇ 진법 표현 및 진법 변환
- (2진수) `0b`으로 시작
- (8진수) `0o`으로 시작
- (16진수) `0x`으로 시작
- (진법 변환)
. (다른 진법 → 2진수 변환) 내장함수 bin()을 사용 (문자열 반환)
ㅇ 정수로의 변환
- 문자열 → 정수 : int(문자열)
- 진법 간 변환 : int(다른 진법의 문자열, 밑)
. 여기서, 밑은, 2 ~ 36 까지 가능
ㅇ 특별한 숫자 표현
- Inf : +∞
- NaN : Not a Number,부정 값
3. 파이썬 자료구조 (군집/컨테이너 형태 자료형)
※ 파이썬은, 별도 라이브러리 없이도, 자체 내장 자료구조를 제공 함
ㅇ 시퀸스(Sequence) 형태 : 순서가 중요함
- 문자열 (str)
. 기본이 유니코드 임 (3.x 부터임)
. 문자열 연산
.. 문자열 연결(병합) : +
.. 문자열 반복 : *
- 리스트 (list)
. 例) l = ['red','green','blue']
. 순서가 있는 값의 나열
. 제공 메서드
. append(e), extend(e), insert(i,e), remove(e), pop(), pop(i), clear(), index(e),
count(e), sort(), reverse(), copy 등
. 제공 연산자 : +, *, [], [:], in 등
- 튜플(tuple)
. 例) t = (1,2,3)
. 리스트와 유사하나, 읽기 전용이며, 속도 빠름
. 제공 메서드 : count(), index()
ㅇ 비 시퀸스(Non Sequence) 형태 : 순서가 중요하지 않음
- 집합 (set)
. 例) s = {1,2,3}
. 순서가 없으나, 중복을 허용 않는 값의 모음
. 제공 메서드 : 리스트와 거의 유사하나,
.. 교집합 intersect(),합집합 union()이 추가됨
. [참고] 자바스크립트의 Set 객체 참조
- 사전 (dictionary)
. 例)
.. d = dic(a=1, b=2, c=5)
.. d = { 'a' : 1, 'b' = 2, 'c' = 5 }
.. d = { } # 빈 사전
. 키(key : a,b,c)와 값(value : 1,2,5)의 쌍으로 구성됨
. 때론, 사전은 맵(map) 또는 테이블(table) 또는 해시(hash) 라고도 함
. 집합 처럼 원소들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음
. 리스트,튜플,집합과 달리 키를 사용하여 원소들에 접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