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어 (Control)
ㅇ 시스템 전체를 정상적이고 효율적으로 가동시키려는 행위(동작)
ㅇ 적당한 성능을 얻기위해 시스템을 변화, 조정하는 것 ☞ 제어관련용어 참조
- 외란에도 불구하고 출력을 목표신호에 가깝게 유지시키는 것
. 원하는 응답(과도응답,정상상태응답 등)을 만들어내는 것
2. 제어의 구분
※ ☞ 제어 종류 참조
- 목표값 고정 여부 : 정치 제어(Fixed Control), 추종 제어(Follow-up Control)
- 자동화 여부 : 수동 제어(Manual Control), 자동 제어(Automatic Control)
- 제어신호 전달의 루프(되먹임,피드백) 여부 : 개루프 제어, 폐루프 제어
- 정해진 순서 여부 : 시퀸스 제어(Sequence Control),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 응용상의 구분 : 프로세스 제어, 서보 제어, 자동 조정
3. 제어 시스템 (Control System)
ㅇ 제어 입력에 따라 정해진 또는 적응적 방법으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4. 제어 시스템 특성
ㅇ (목표) 제어 목표 (Control Objective) : 얻고자 하는 제어시스템 특성
- 안정성, 명령추종성능, 외란 제거, 강인성 등 ☞ 제어목표 참조
ㅇ (변수) 제어 대상 요소 : 입력 변수, 상태 변수, 출력 변수
ㅇ (모델링)
- 제어 대상 시스템(Plant)의 모델링(Modeling) ☞ 수학적 모델링 참조
- 제어시스템 모델링 표현 ☞ 블록선도, 신호흐름선도, 상태방정식 참조
ㅇ (연결방식)
- 제어시스템 내 제어기와 플랜트 연결방식 ☞ 개루프 제어, 폐루프 제어 참조
ㅇ (성능) 제어시스템 성능 규격 ☞ 제어시스템 설계 참조
- 과도응답 특성, 상대 안정도(안정성), 정상상태 오차 등
. 즉, 과도 응답, 정상상태 응답의 조절 능력
ㅇ (동작수행) 제어시스템 전체 특성을 고려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 제어기 참조
5. 제어 이론 (Control Theory)
ㅇ 고전 제어이론
- 주로, 입출력 관계 즉, 전달함수에 기초를 두고 제어시스템을 해석 및 설계
ㅇ 현대 제어이론
- 주로, 상태공간기법을 이용하여 제어시스템을 해석 및 설계